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교육평가연구 제37권 제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교학점제 관련 학교 요인이 핵심역량 분류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chool factors on the classification of core competencies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 focus on general-vocational high schools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의 전면 도입을 앞둔 시점에서 관련 학교 요인이 학생들의 핵심역량 분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일반고와 직업계고를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정리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학생들의 핵심역량에 수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한 결과 일반고와 직업계고 모두에서 ‘핵심역량 최상위’, ‘핵심역량 상위’, ‘핵심역량 중위’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해당 프로파일별 4가지의 하위 역량들의 수준이 모두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교 요인이 핵심역량 프로파일 구분에 미치는 영향을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핵심역량 중위집단을 준거로 일반고와 직업계고 모두에서 상위 집단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이 관측된 변수는 ‘선택과목 진로 연관성’, ‘수업방식(상호작용)’, ‘학생의견 반영정도’, ‘읍면지역’ 4개 변수로 도출되었고, 두 집단 모두에서 영향력이 가장 높은 변수는 ‘수업방식(상호작용)’으로 도출되었다. ‘수업방식(개별화)’, ‘선택과목 미개설 경험 없음’, ‘중소도시’, ‘사립’ 변수의 경우 일반고에서만 집단 구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이 나타났고, ‘대도시’는 직업계고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회귀값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school factors on students’ categorisation of core competencies in general and vocational high schools, leading up to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study’s conclusions are summarised based on the main findings. The results of the latent profile classification showed that both general and vocational upper secondary schools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f core competence profiles, namely ‘top core competence’, ‘upper core competence’ and ‘middle core competence’, and that the levels of the four sub-competences in each profile were simila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variables that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the top group in both general and vocational upper secondary schools based on the middle group of core competences were ‘relevance of elective courses to careers’, ‘teaching method (interaction)’, ‘degree of reflection of students’ opinions’ and ‘city and region’, and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in both groups was ‘teaching method (interaction)’. For the variables ‘teaching method (individualised)’, ‘no experience with optional courses’, ‘small and medium-sized town’ and ‘private school’, only general secondary school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group classification, while ‘large tow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regression value only for vocational school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