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WCC의 “디지털 정의” 대한 기독교윤리학적 담론 이해

Understanding the Christian Ethical Discourse of WCC’s “Digital Justice”

  • 277
신학사상 204집(2024년 봄호).jpg

급격한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디지털 시대에 들어서면서 새로운 윤리적 담론이 형성되고 있다. WCC는 2021년부터 디지털 정의에 관한 비전을 토대로 에큐메니컬 공동체 윤리를 제시하였다. WCC가 제시한 디지털 정의는 디지털 격차와 불평등 문제, 정보 및 참여의 민주화 문제, 개인 정보 보호와 안전에 대한 문제 등을 윤리적 담론으로 제시하였다. 특별히 디지털 정의를 구현하기 위해 사이버 공간에서의 공적 활동 영역을 증가시키고, 교육을 통한 디지털 리터러시를 확장하고, 유사 활동 단체 간의 전지구적 연대를 구축해야 한다는 실천 과제들도 제시하였다. WCC의 디지털 정의에 관한 비전은 디지털 사회에서 추구해야 할 윤리적 문제 및 그 실천 과제를 시의적절하게 제시한 점에서 긍정적이다. 다만 디지털 변혁의 가속화에 따른 담론 가능성의 한계, 세부적인 논리 모델의 구축 필요성, 기술인본주의 시대에 부합하는 신학적 재해석의 부재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기독교윤리학은 이런 과제들에 대한 대안과 더불어 디지털 시대에 부합하는 디지털 정의를 고도화할 필요가 있다.

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hristian ethical significance implied in the report “Digital Justice” presented by the WCC. As we enter the Digital Age, marked by rapid advancem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a new ethical discourse is taking shape. Since 2021, the WCC has presented an ecumenical community ethic based on a vision of Digital Justice. The Digital Justice report forwarded by the WCC presents ethical discourses on issues such as the digital divide and inequality, democratization of information and participation, and issue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safety. In order to implement digital justice, it also presented practical tasks to increase the area of public activity in cyberspace, expand digital literacy through education, and establish global solidarity among groups with a similar mandate to promote digital justice. The WCC’s vision on digital justice is positive in that it presents ethical issues in a timely manner and suggests related practical tasks that should be pursued in a digital society. However, further work in needed to address the accelera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 need to construct a detailed logic model program, and the absence of theological reinterpretation that fits the age of tech-humanism. Christian ethics needs to refine how it understands digital justice in a way that fits the digital age and provide alternative plans of action.

Ⅰ. 시작하는 글

Ⅱ. WCC의 의제에서 “디지털 정의” 개념의 등장

Ⅲ. WCC의 “디지털 정의”와 윤리적 담론 분석

Ⅵ. “디지털 정의”에 대한 기독교윤리학적 평가

Ⅴ. 맺는 글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