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미술교육논총 第38券 1號.jpg
KCI등재 학술저널

학교 적응을 위한 치유적 다문화 미술교육의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Healing Multi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s for School Adaptation

  • 112

본 연구의 목적은 K중학교 다문화 학생의 심리적·정서적 치유를 위한 다문화 미술 수업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미술 창작 활동에 참여하는 과정과 경험이 다문화 학생들에게 어떤 의미로 작용하는지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8명의 K중학교 다문화 학생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McCutcheon과 Jung(1990)이 제시한 해석적 실행연구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긍정적 자아정체성 확립이다. 다문화 학생들은 대부분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혼란을 느끼거나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들에게 다양한 활동을 통한 지속적인 정체성 탐색과 긍정적 자극 경험은 긍정적 자기 인식과 자아 정체성을 형성하게 하였다. 둘째, 자아존중감의 향상이다. 다문화 학생들은 자기 주도적으로 미술활동에 참여하며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경험할 수 있었고 자유로운 자기표현 기회는 학생들의 흥미와 열정, 자신감을 높일 수 있었다. 셋째, 학교 구성원 간의 소통과 이해이다. 심리적 위축감을 겪고 있는 다문화 학생에게 공감과 긍정적 피드백은 정서적 안정과 소속감을 느끼게 하였다. 또한 학교 구성원의 관심과 긍정적 지지를 경험하며 자신감과 긍정적 자아상, 자아존중감을 함양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ulticultural art class program for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healing of K middle school multicultural students, and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process and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art creation activities for multicultural students. To this end, eight K middle school multicultural student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and the interpretive implementation study suggested by McCutcheon and Jung (1990)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the establishment of a positive self-identity. Most of the multicultural students felt confused or perceived their identity negatively. For them, the continuous search for identity through various activities and the experience of positive stimulation led to the formation of positive self-awareness and self-identity. Second, it is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Multicultural students were able to experience self-directed participation in art activities and increasing their self-efficacy, and free self-expression opportunities were able to increase their interest, passion, and confidence. Third, it is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among school members. Empathy and positive feedback made multicultural students feel emotional stability and a sense of belonging. In addition, I was able to cultivate confidence, positive self-image, and self-esteem by experiencing the interest and positive support of school members.

Ⅰ. 들어가며

Ⅱ. 다문화 학생의 학교 적응과 다문화 미술교육에 대한 이해

Ⅲ. 연구 방법

Ⅳ. 연구의 실행과정과 결과

Ⅴ. 나오며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