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교원교육 제40권 제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수업 시연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 예비교사의 음악 수업에 대한 인식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Music Classes While Micro-Teaching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음악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그들의 음악 수업에 대한 어려움과 요구를 통해 음악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전국의 3개 교육대학에 있는 초등 예비교사 201명을 대상으로 수업 시연 전과 후, 예비교사들의 음악 수업에 대한 인식과 수업 시연 후 그들의 음악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요구에 관한 내용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교사들이 수업 시연에 참여한 후 자신의 수업 녹화 영상을 토대로 자기 평가지를 작성한 결과도 함께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교사들은 음악 수업을 음악 지식을 바탕으로 학습자를 고려하여 음악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정서와 가치를 공감하는 수업이라고 인식하였다. 둘째, 그들은 교사의 음악적 지식과 실기를 바탕으로 한 학생 참여 중심의 음악 수업을 원하나 음악 수업 경험 부족으로 인해 수업 시연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겪고 있었다. 셋째, 그들은 자신 있는 음악 수업에 대한 개인차가 심했다. 그들은 음악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해 교사 양성 기관에 현장과의 연계성 강화, 음악적 역량 향상을 위한 지원 및 관련 교과목 시수 확대, 수업 기자재 확충 우수 수업을 관찰하고 분석할 수 있는 기회 제공 등을 요구했다. 또한 그들은 수업 시연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에 비추어 음악 실기 능력, 음악 지식, 음악 교수법과 관련하여 개인의 능력 개발도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 예비교사들이 음악 수업 전문성을 갖춘 교사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개인뿐 아니라 교사 양성 기관 등 여러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추후 연구에서는 음악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연구되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iscover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teachers about music classes and to seek directions for enhancing the music class expertise through difficulties and demands for their music classes. Methods: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micro-teaching and filled out self-assessment sheets based on recorded class video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01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their perception of music classes before and after micro-teaching and what they believed their needs were to improve their music class expertise after micro-teaching. Results: First, the teachers recognized music classes as classes that felt the beauty of music and sympathized with emotions and values by considering the learners based on music knowledge. Second, they wanted a student participation-oriented music class based on the teacher's musical knowledge and practical skills, but they were experiencing trial and error in the micro-teaching due to their lack of music class experiences. Third, they had many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ir confident music classes.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music classes, they believed that they required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to strengthen their connection with the field, support for improving musical competence, expand the number of hours of related subjects, expand class equipment, and provide opportunities to observe and analyze excellent classes. In addition, they recognized the need to develop individual abilities in relation to music practical skills, music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methods in relation to the difficulties they encountered while micro-teaching. Conclusion: For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to grow into teachers with music instruction expertise, various efforts are required, including not only for the individuals but also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Following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future studies will examine specific measures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music classes.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