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교원교육 제40권 제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학교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a school curriculum implemen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P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실천공동체의 이론적 관점에서 학교교육과정 운영 사례를 분석한 연구이다. 실천공동체는 동일한 관심사, 일련의 문제의식, 특정 주제에 대한 열정을 공유하고,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어느 분야에 대한 지식과 전문성을 확대해 나가는 사람들의 집단이다. 본 연구는 실천공동체로서의 단위학교가 작동하는 사례를 분석하고 실천력을 제고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러한 목적에서, 십수 년에 걸쳐 실천공동체를 형성해온 전형적 사례에 해당하는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방식을 분석한 해석적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문헌, 면담, 사진과 동영상 등 다양한 자료를 분석하고 여러 차례의 보충 면담 및 멤버첵을 통해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첫째로 교사들은 학생들의 행복한 삶을 공동의 교육 비전으로 삼고, 즐거운 성장을위한 학교 조성을 추구하고 있었다. 둘째, 교육과정 운영의 전 과정에서 학교 구성원의 협력적 실천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관료조직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민주적인 운영 방식과 그 학교만의 교육과정 양식을 만들어가고 있었다. 결론 교육공동체로서 단위학교의 실천력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제언으로는 교사가 교육과정 운영에 몰입할수 있는 교무행정 개선 단위학교 맞춤형 교육지원시스템 구축, 단위학교의 교육 수요에 기반한 인력 배정과 교육경비의 차등 지원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case of a school curriculum implementation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 of communities of practice. A community of practice is a group of people who share the same interests, set of problems, and passion for a particular topic and expand their knowledge and expertise in a field through continuous interaction. This study analyzed the case of a unit school as a community of practice and suggested policy measures to enhance the practice. Methods: For this purpose, an interpre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urriculum management of a school that is a typical example of a community of practice that has formed over a decade. Various materials such as literature, interviews, photos, and videos were analyzed and validated through triangulation and member checks.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first, the teachers had a shared educational vision of students' happy lives and sought to create a school for joyful growth; second, the school members were engaged in collaborative practices in all aspects of curriculum management; and third, the school was creating a democratic management system to overcome the constraints of the bureaucratic organization and its own curriculum document style. Conclusion: Policy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unit schools as an educational community include improving school administration so that teachers can immerse themselves in curriculum management, establishing a customized educational support system for unit schools, allocating differential support personnel and an educational budget based on the educational needs of unit schools.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