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디자인 또는 미술 경험이 전무하거나 미흡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초디자인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을 찾고자 계획되었다. 디자인에서 필수적인 조형원리의 적용 방안을 중점으로 다루었으며, 일반적인 비례, 대비, 균형, 조화, 강조, 통일, 변화 등의 광범위한 조형 개념들을 함축적으로 정리하여 학생들이 직관적으로 빠르고쉽게 조형원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BMS라 정의하고 생활 속 친숙한 소재들인 도구와 현상, 상황 등을조형원리의 표현 재료로 이용하였다. 일상적인 소재를 조형의 가치로 재구성한 사례를 소개하고 BMS 조형원리와의연관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BMS 조형원리는 조형에 대한 접근을 사실적이고 구체적인 방법으로 제시하였고 시각적 (정량적), 개념적(정성적) 관점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3단계로 구성된 프로세스의 각 항목들은 디자인과 BMS 조형원리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것은 디자인 제작에 필요한 종합적인 사고의 중요 성을 이해하는 동시에 실질적인 레이아웃의 표현방법을 체계화하는 것으로써 디자인 결과물의 미적가치를 높여 디자인의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basic desig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little to no prior experience in design or fine arts. The proposed method focuses on applying essential formative design principles, referred to as formative BMS principles in this study. It provides concise information on a broad range of general design concepts such as proportion, contrast, balance, harmony, emphasis, unification, and change to support students in learning design principles intuitively, quickly, and easily. Moreover, tools, phenomena, situations, and so on that are commonly found in daily life are used as materials to implement design principles. Subsequently, cases of transforming daily materials into valuable design works are introduce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cases and formative BMS principles, which are explained from visual (quantitative) and conceptual (qualitative) perspectives in a way that facilitates a factual and specific approach to design. In addition, the proposed method comprises three processes that help students effectively lear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and formative BMS principles. This method enables students to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the comprehensive thinking required for design-based production, systematically develop practical layout expression techniques, and increase the aesthetic value of design outcomes, thereby amplifying design learning effects.
Ⅰ. 서 론
Ⅱ. BMS 조형원리
Ⅲ. 생활소재의 조형적 가치
Ⅳ. BMS 조형원리의 표현
Ⅴ. 결 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