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여성 관리직 종사자의 일자리 이탈 원인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여성의 경력단절 및 낮은 고용안정성이 생애 인적자본 축적 및 경력형성에 장기적인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에 주목 하고, 특히 사회적 비용이 더 크다고 볼 수 있는 고역량 여성 관리직 종사자의 일자리 이탈과 그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여성관리자패널 2기 1차 및 2차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여성 관리자는 일정 연령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이탈확률이 증가하며, 통근시간에도 영향을 받 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분석결과를 토대로, 여성 관리자의 노동시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출산육아지원정책 활성화와 유연근무제 및 재택・원격근무 확대 등 기업의 근무환경 개선 필요성에 대해 제언한다. 본 연구는 여성의 일자리 및 노동시장 이탈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방안과 이로 인해 발생하는 노동시장 내 성별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정책방향 모색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es for job retention and leave of female managers in South Korea.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women’s career interruption can have a long-term negative impact on lifelong human capital accumulation and career form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ality of career interruption in high-capacity female managerial positions, and to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Using Korean Women Manager Panel study, we found that female managers showed a continuous increase in the probability of leaving the workforce up to a certain age, and it was found that commuting time also had an impac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improvements in the working environment, such as the activation of maternity and childcare support policies, the implementation of flexible work hours, and the expansion of telecommuting, to prevent the labor market exit of female managers. The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xploring the policy directions to prevent women from exiting their job and labor market and reduce gender gaps within the labor mark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