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POST.jpg
KCI등재 학술저널

군대 내 성희롱・성폭력 예방 및 대응 정책 수행 경험에 관한 주관성 연구: Q방법론을 중심으로

A subjectivity study on the experience of implementing sexual harassment & sexual violence prevention and response policies in the military: Focusing on the Q Methodology

  • 72

본 연구는 군대 내 성희롱・성폭력 예방 및 대응 정책 수행 경험자들의 주관성을 살펴보고자 개인 의 주관적 인식을 객관적으로 측정이 가능한 Q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연구 과정은 먼저, 문헌 연구 및 심층 인터뷰를 통해 213개의 Q모집단을 수집하였고 군 성희롱・성폭력 관련 전문가 및 Q방법론 전문가 검토를 통해 40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Q표본을 연구 참여자인 P표본들에게 제 시하고 강제분포 방식으로 Q분류를 실시하게 한 후 Ken-Q Analysis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P표본 17명 중 2명은 유의미한 요인 적재치를 나타내지 못해 제외하였고 나머 지 15명은 1요인에 7명, 2요인에 3명, 3요인에 3명, 4요인에 2명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Q요인 분석을 통해 확인된 군대 내 성희롱・성폭력 예방 및 대응 정책 수행 경험자들의 주관적 인식은 총 4가지 유형으로 ‘구성원의 적극적인 동참이 중요하다는 유형’, ‘실질적인 임파워먼트가 필수적이라 는 유형’, ‘직무소진 해소 방안이 필요하다는 유형’, ‘내부 전문가 양성시스템이 구비되어야 한다는 유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군대 내에서 성희롱・성폭력 관련 정책 전반을 실제로 수행했던 인원 들의 총체적인 경험을 연구했다는 점에서 기존의 이론적 근거를 기반으로 한 연구들과 차별성을 갖고 있으며, 연구 결과를 통해 관련 정책의 개선 방향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 중요한 의의가 있겠다.

This study used the Q methodology that can objectively measure individual subjective perceptions to examine the subjectivity of those who have experienced sexual harassment and sexual violence prevention and response policies in the military. For the research process, 213 Q populations were first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s, and 40 Q samples were selected through the review by the relevant work experts and Q methodology experts. The selected Q sample was presented to P samples, which were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and Q classification was performed in a forced distribution method and analyzed using the Ken-Q Analysis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2 out of 17 P samples were excluded because they did not show significant factor loading values, and the remaining 15 were classified into 7 for 1 factor, 3 for 2 factors, 3 for 3 factors, and 2 for 4 factors.There are four types of subjective perceptions of those who have implemented policies related to sexual harassment and sexual violence in the military identified through this Q factor analysis, Type 1 'Emphasis on active participation of members, Type 2 'Substantial empowerment needs', Type 3 'Need for a solution to address job burnout', Type 4 'Requires training system of internal experts’.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tudies based on theoretical grounds in that it studied the overall experience of the personnel who actually carried out sexual harassment and sexual violence policies in the military, and it is meaningful that the research results provided basic data to explore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the relevant polici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