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안경 사용이 양안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mart Glasses on the Binocular Vision and Ocular Fatigue
- 대한검안학회
-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
- Vol.23 No.1
- 2024.03
- 26 - 35 (10 pages)
목적: 스마트안경 사용이 양안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건강한 만 13세에서 만 45세 사이의 지원자 중 17명을 대상으로 양안 스마트안경 착용 후 20분간 영상을 시청하도록 하고 양안시와 눈피로에 대해 분석하였다. 피로에 대한 설문은 Virtual Reality Symptom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다. 눈피로의 객관적 평가는 조절미세파동검사의 고진동수 영역을 측정하였다. 조절력의 변화는 Push-up method를 이용하였으며 자동굴절검사기를 이용해 구면렌즈대응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 외에도 6 m와 33 cm 거리에서 원, 근거리 사시각 측정, Pelli-Robson을 이용한 대비감도검사, 계단적검사법을 이용한 조절눈모음비 측정을 시행하였다. 결과: 양안 스마트안경을 이용해 영상 시청 후 주관적인 설문 평가에서 눈피로가 증가하였다(p = 0.001). 우세안과 비우세안 모두에서 조절미세파동검사의 고진동수 영역검사상 눈피로 증가와, Push-up method를 통한 조절력검사에서 조절력 감소, 그리고 구면렌즈 대응치 검사에서 일시적 근시화가 관찰되었다(p < 0.05). 설문평가에서 전신적인 피로의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고, 사시각, 조절눈모음비, 대비감도 등에도 유의한 변화(p > 0.05)가 없었다. 결론: 조절미세파동검사의 고진동수 영역 증가, 조절력 감소, 눈피로에 대한 설문조사 등을 바탕으로 양안 스마트안경 사용이 눈피로 증가와 연관이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추후 스마트안경 사용으로 인한 눈피로의 감소 방법과 장기간 스마트안경 사용 시 일시적 근시화에 대한 안전성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inocular visual function and ocular fatigue after the use of smart glasses. Methods: A total of 17 healthy volunteers (age range 13-45 years) were examined for ocular fatigue before and after watching videos for 20 minutes with a binocular smart glasses device. Subjective ocular fatigue was evaluated using a Virtual Reality Symptom Questionnaire (VRSQ). Objective fatigue was measured using the high-frequency component of accommodative microfluctuation. Accommodation amplitude was measured using the push-up method. Changes in the spherical equivalent were also measured using an autorefractometer. Strabismus angles were measured at distant (6 m) and near fixation (33 cm) in primary. Contrast sensitivity tests using the Pelli-Robson chart was performed. Accommodative convergence/accommodation (AC/A) ratio was measured by gradient methods. Results: Subjective ocular fatigue, as indicated by the VRSQ score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using the smart glasses (p = 0.001). The high-frequency component of accommodative microfluctuation increased in both eyes (p < 0.05). Accommodation amplitude was decreased, and temporary myopia was observed in both eyes (all p < 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increase in general fatigue according to the VRSQ. Parameters including strabismus angle, AC/A ratio, and contrast sensitivit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smart glasses usage (p > 0.05). Conclusions: The increased high-frequency component of accommodative microfluctuation, decreased accommodation amplitude, and elevated ocular fatigue scores measured by the VRSQ indicate a potential association between the use of smart glasses and ocular fatigue. Further investigations are warranted to explore methodologies for mitigating ocular fatigue and elucidating the potential risk of temporary myopic shifts arising from the utilization of smart glasses.
서 론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