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작물학회지 제69권 제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평년기상을 활용한 우리나라의 콩 재배지역 구분

Classification of Cultivation Region for Soybean (Glycine max [L.]) in South Korea Based on 30 Years of Weather Indices

DOI : 10.7740/kjcs.2024.69.1.049
  • 17

우리나라 주요 밭작물의 하나인 콩 재배에서 기상에 맞는 재배 양식 개발이 필요함에 따라 콩 작황시험 생육 및수량 조사 데이터를 이용해 콩에 영향을 끼치는 기상요소를 추출하고 재배지역을 구분하였다. 1. 밀양과 수원지역의 콩 10년 동안의 작황시험 결과와 기상자료 간의 상관분석을 통해 콩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요소를 분석한 결과, 생육 특성과 영양생장기 기상과의상관관계는 일교차, 강수량과 최저온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수량특성과 생식생장기 기상과는 일교차, 강수량, 최고온도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2. 추출한 기상요소와 위도, 해발고도를 포함해 콩의 재배지역 구분을 위해 k-means clustering을 실시한 결과, 지역은 세 가지로 나누어졌으며, zone 1은 중부내륙지역과경기도 남부지역, zone 2는 서해안 남부지역, 동해안 남부지역과 남해지역, zone 3은 경기도 동부 일부지역과강원도 및 해발고도가 높은 지역이 포함되었다. 3. 세 가지 지역 중 위도의 범위가 넓은 zone 1을 세 가지지역으로 세분한 결과, Zone 1-1은 다른 두 지역에 비해위도가 낮았으며, 강수량이 적은 특징을 가진다. Zone 1-2는 다른 두 지역에 비해 짧은 일조시간과 높은 기온이 특징적이었다. Zone 1-3은 위도 상으로는 두 지역의중앙에 위치해 있으며, 일조 시간이 길면서 일교차가 큰특징이었다. 4. 본 연구에서 콩 재배를 위한 한국의 재배지역은 크게 3 가지로 구분되었으며, 작게는 5가지 지역으로 구분되었다. 기상 요소 및 생육 정보를 기반으로 한 재배지역을구분함으로써 국내 콩 생산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였다.

A region can be divided into cultivation zones based on homogeneity in weather variables that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crop growth and yield. This study classified the cultivation zone of soybean using weather indices as a prior study to classify the agroclimatic zone of soybean. Meteorological factors affecting soybeans were determin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over a 10 year period (from 2013 to 2022) using data from the Miryang and Suwon regions collected from the soybean yield trial database of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and the meteorological database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correlation between growth characteristics and the minimum temperature, daily temperature range, and precipitation were high during the vegetative growth stages. Moreover, the correlation between yield components and the maximum temperature, daily temperature range, and precipitation were high during the reproductive growth stages. As a result of k-means clustering, soybean cultivation zones were divided into three zones. Zone 1 was the central inland region and southern Gyeonggi-do; Zone 2 was the southern part of the west coast, the southern part of the east coast, and the South Sea; and Zone 3 included parts of eastern Gyeonggi-do, Gangwon-do, and areas with high altitudes. Zone 1, which has a wide latitude range, was further subdivided into three cultivation zo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estimating agro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edicting the success of soybean cultivation in South Korea.

재료 및 방법

결 과

고 찰

적 요

사 사

인용문헌(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