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제19권 제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초등학교 수석교사의 직무역량모델 개발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수석교사의 직무역량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문헌분석, 행동사건인터뷰와 심층인터뷰를 통해서 직무역량모델 초안을 도출하고,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직무역량모델 잠정안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20명의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내용타당도 조사를 실시하여 직무역량 및 행동지표의 타당도가 검증된 최종 직무역량모델을 확정하였다. 초등학교 수석교사의 직무역량모델은 4개 직무영역(학교교육 지원, 학생교육 활동, 교사전문성 계발 지원, 연구개발 활동), 9개 직무역량(학교 교육목표 달성지원, 교육환경 변화 대응, 교육과정 문해력, 학습자 지향성, 수업 전문성, 수업 컨설팅, 교사 전문성 코칭, 학습조직화, 수석교사 전문성 계발), 33개의 행동지표로 구성되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초등학교 수석교사의 직무역량모델은 초등학교 수석교사의 직무역량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job competency model for primary school master teachers. Through literature review, behavioral event interviews and in-depth interviews, a draft job competency model was developed,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develop a tentative job competency model. Then, a content validity study was conducted with 20 experts to obtain CVI and IRA values, and the final job competency model with validated job competencies and behavioral indicators was confirmed. The job competency model of elementary school master teachers consists of four job areas (supporting school education, student education activities, supporting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activities), nine job competencies (supporting school educational goals, responding to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curriculum literacy, learner orientation, teaching expertise, instructional consulting, teacher professional coaching, learning organization, and master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33 behavioral indicators. It is significant that the model of master teachers' job competencies developed in this study provided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master teachers' job competencies.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