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무역은 전통적인 무역 방식에서의 디지털 기술의 적용을 의미하며 전통적인 무역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효율성을 향상에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전자송장(e-Invoicing)의 도입과 활용은 거래 당사자 간의 무역 거래비용 최소화를 통한 국제무역 촉진에 기여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전자송장의 도입과 활용은 다자 및 양자 그리고 복수국 간 디지털무역협정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하여 국내 수출기업의 전자송장 및 시스템 도입과 활용 의도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기업의 외부요인인 혁신성과 경제성이 전자송장 도입 및 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기업 혁신성과 경제성이 높을수록 전자송장 도입과 활용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향후 우리나라 수출기업의 전자송장 활용은 글로벌 무역 프로세스를 혁신하고 최적화하는 데에 기여 할 것으로 판단되며 우리나라 수출기업의 대외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자송장 시스템의 도입을 적극 도입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Digital trade refers to the application of digital technology in the traditional trade method, and is evaluated to play a big role in improving the traditional trade process and improving efficiency. In particular, the introduction and use of e-invoicing is evaluated to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international trade by minimizing trade transaction costs between the parties to the transaction. The introduction and use of e-invoicing is being discussed in various ways in multilateral, bilateral, and multilateral trade agreement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innovation and economic feasibility, which are external factors of a company, on the intention to introduce and use e-invoicing systems and use e-invoicing by domestic export companies us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 the future, it is judged that the use of e-invoicing by Korean export companies will contribute to innovating and optimizing the global trade process, and it wa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introduce an e-invoicing system to secure the external competitiveness of Korean export companies.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조사 및 설계
Ⅳ. 실증분석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