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통상정보연구 제26권 제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통화옵션과 국채선물이 원달러환율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Currency Options and KTB Futures on the USD/KRW Exchange Rate

DOI : 10.15798/kaici.2024.26.1.155
  • 76

본 연구에서는 통화옵션(변동성)과 국채(KTB)선물가격이 원달러환율(USD/KRW)에 미치는 영향을 코로나19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서 회귀분석과 VECM을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통화옵션 시장은 모든 기간에서 통화옵션 1년 변동성만 원달러환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국채선물 3년물과 10년물은 모두 코로나19 이전(Panel A)에는 큰 영향이 없다가, 코로나19 이후(Panel B)부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환율에 영향을 주었다. 둘째, 코로나19 이전과 이후의 모든 시계열에서 공적분이 존재하며, 특히 코로나19 이전보다 이후에 공적분 상관성은 더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VECM으로 분석한 결과에서 국채선물의 영향력은 코로나19 이전에는 아무런 유의성이 없었지만 코로나19 이후에는 유의성이 나타났다. 넷째, 충격반응분석 결과에서 옵션시장과 국채선물시장의 충격이 환율(USD/KRW)에 미치는 영향은 코로나19 이전보다 이후에 더 크게 나타나며 지속력도 길었다. 다섯째, 환율(USD/KRW)에 대한 예측오차 분산분해의 결과에서도 코로나19 이전보다 이후에 더 국채선물에 대한 영향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율을 이해하는 것은 수출과 수입뿐만 아니라 국제통상 및 글로벌 경제활동에 매우 중요하다. 향후, 환율시장과 국제무역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지속되길 기대한다.

In this study, the impact of currency options(volatility) and KTB futures prices on the USD/KRW exchange rate was divided into before and after COVID-19 and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cross-sectional regression analysis and VECM.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the currency option market showed that only the one-year volatility of the currency option affected the USD/KRW exchange rate in all periods. However, both 3-year and 10-year KTB futures had no significant impact before COVID-19, but appear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exchange rate starting after COVID-19. Second, cointegration exists in all time series before and after COVID-19, and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the cointegration correlation is stronger after COVID-19 than before. Third, the results of the VECM analysis showed that the influence of KTB futures had no significance before COVID-19, but became significant after COVID-19. Fourth, the results of the shock response analysis showed that the impact of shocks in the options market and KTB futures market on the USD/KRW exchange rate was greater after COVID-19 than before and had a long lasting effect. Fifth, the results of the variance decomposition of forecast errors for the USD/KRW exchange rate also showed that the influence on KTB futures increased more after COVID-19 than before. Understanding foreign exchange is very important not only for exports and imports, but also for international trade and global economic activities. In the future, we hope that more in-depth research on the foreign exchange market and international trade will continue.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분석 데이터와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