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무역 발전은 정부의 산업 육성정책과 함께한다. 선진국 대열에 진입한 우리나라는 의료기기와 같은 기술집약적·고부가가치 창출 산업발전과 해외시장 진출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특히, 암 환자 및 고령화 증가에 따른 예방·치료 목적의 방사선 의료기기산업은 지속적인 성장을 예상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방사선 의료기기 수출 활성화를 위해 5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수출 희망 제조업체 등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분석 결과 대상자들은 시간·비용·정보·인력의 부재로 수출 준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첫째, 방사선 의료기기 Micro Degree 과정 개설, Running Mate 무역컨설팅 신설 등의 무역실무 교육과 무역컨설팅 제도 재편이 필요하다. 둘째, Off-line 무역마케팅 방법의 비중을 달리하고 플랫폼 중심의 On-line 무역마케팅 시도가 필요하다. 셋째, 연계형 정부 지원제도 및 조건부 무역금융 제도 개선 등이 필요하다.
Korea's trade development is accompanied by the government's policy to foster industries. Entering the ranks of advanced countries, Korea should seek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intensive and high-value-added industries such as medical devices and entry into overseas markets. In particular, the radiation medical device industry for the purpose of prevention and treatment due to the increase in cancer patients and aging population is expected to continue to grow. Therefore, this study set up five research questions to revitalize the export of radiation medical devices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manufacturers.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analysis, the subjects are having difficulty preparing for exports due to the lack of time, cost, information, and manpowe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first,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trade consulting system and trade practical education, such as opening a Micro Degrees course for radiation medical devices and establishing Running Mate trade consulting. Second, it is necessary to attempt platform-oriented online trade marketing with different proportions of off-line trade marketing methods. Thir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linked government support system and conditional trade finance system.
Ⅰ. 서론
Ⅱ. 방사선 의료기기 관련 선행연구
Ⅲ. 연구설계 및 분석
Ⅳ. 방사선 의료기기 수출 활성화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