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차문화산업학 제63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전후 일본 기업인 출신 다인의 다도와 수집을 통해 본 차문화의 변화

Changes in tea culture seen through tea ceremony and collection by many Japanese entrepreneurs after World War II: Centered on Sazo Izumitsu and Kounosuke Matsushita

  • 45

제2차 세계대전의 종전 후, 미군정의 개입으로 재벌 해체가 진행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정계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던 많은 기업이 사라졌다. 대신 1950년대 이후 30년 넘게 진행된 고도성장시대에 걸맞는 새로운 기업가들이 등장했다. 일본인의 교양으로, 근대 재벌들이 몰두했던 다도는 전후 새로 등장한 실업가들에게도 전해졌다. 그러나 이들의 다도와 컬렉션은 2차 대전 이전의 재벌 다도와는 차이를 보인다. 보다 체계적인 학술적 접근을 위한, 학계에의 지원과 서양미술품의 수집 등이 그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전후 기업인을 대표하는 이데미츠 흥산의 이데미츠 사조(出光佐三)와 파나소닉의 마츠시타 코노스케(松下幸之助)의 컬렉션과 다실, 다도를 중심으로 현대 일본 다도의 모습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본 현대 일본 다도의 중요한 키워드는 미술관 건립 등을 통한 공공성의 확보와, 소비자의 만족이다. 과거 재벌과는 달리 소비자와 대중에 대한 기업의 기여가 강조되는 가운데, 기업인의 다도는 소수의 선택받은 이들을 위한 도락이 아니라, 여성을 포함한 새로운 소비자층을 위한 문화 코드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결국 변화한 사회에서 스키샤라는 과거의 문화는 해체되고, 다른 공간을 모색하는 일본의 차문화를 두 사람의 예가 보여주고 있다.

After World War II, the dissolution of chaebols was carried out due to the intervention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d many companies that had close relations with politicians disappeared in the process. Instead, new entrepreneurs have emerged suitable for the era of high growth that has been going on for more than 30 years since the 1950s. The tea ceremony, in which modern zaibatsu were immersed in the culture of the Japanese people, was introduced to new businessmen after the war. However, their tea ceremony and collection are different from those of zaibatsu before World War II. These include support for academia and collection of Western artworks for a more systematic academic approach. This paper analyzes the state of modern Japanese tea ceremony, focusing on the collection of Izumitsu Sasan from Izumitsu Kosan and Matsushita Konosuke from Panasonic, as well as tea rooms and tea ceremonies. Through this, the key words of modern Japanese tea ceremony are popularization and publicity through the construction of art museums. Unlike past chaebols, corporate contributions to consumers and the public are emphasized, and the tea ceremony of entrepreneurs is meaningful not as a hobby for a few selected people but as a cultural code for new consumers, including women. In the end, in a changed society, the past culture of Sukisha(数寄者) was dismantled, and two examples show Japanese tea culture, which seeks different spaces from each other.

Ⅰ. 서론

Ⅱ. 전후 일본의 재벌 개편과 현대 스키샤

Ⅲ. 이데미츠 사조의 다도와 수집의 특징

Ⅳ. 마츠시타 코노스케의 다도와 수집의 특징

Ⅴ. 결론: 현대 일본의 차문화, 스키샤의 해체와 새로운 공간의 모색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