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은 민속, 예술, 역사, 교육, 문화 등의 자료를 수집·조사·연구·공개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최근 전시와 교육이 강조되면서 복합문화공간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처럼 박물관 영역의 확장에서 본 연구는 한국차박물관과 중국차엽박물관을 비교 분석하여 그 발전방안을 연구하였고, 향후 양국이 차를 매개로 한 우호증진의 방안을 모색할 때 본 연구자료가 밀알이 되길 기원한다. 한·중 차(茶)박물관의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기술을 도입하여 박물관과 관람객 간의 소통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차별화 전략을 통해 관람객의 차박물관 재방문 의사를 높여야 한다. 셋째, 차박물관의 서비스 형태를 넓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차원에서 축제의 장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넷째, 해외에서 차문화 브랜드 가치를 높여야 한다. 다섯째, 세계화 전략을 수립하여 차문화를 널리 알려야 한다.
The Modern Museum is a complex educational and cultural center that collects, investigates, researches, and discloses important materials and items in various fields such as art, history, food, and electronic devices, and emphasizes education, research, and exhibitions. Accordingly, this study focuses on the Korean Tea Museum and the Chinese Tea Leaf Museum, studies their development plans, and seeks ways to promote friend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through tea in the future. The revitalization plan for the Korea-China Museum is as follows. First, communication between museums and visitors must be strengthened by introducing digital technology. Second, visitors’ intention to revisit must be increased through differentiation strategies. Third, the tea museum's service types should be expanded and used as a festival space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Fourth, the brand value of tea culture must be increased overseas. Fifth, tea culture must be promoted through a globalization strategy. In other words, considering the cultural specificity and role of tea, the value of the tea museum must be realized through tea and tea culture in a global universality.
Ⅰ. 서 론
Ⅱ. 한·중 차(茶)박물관 현황 및 분석
Ⅲ. 한·중 차(茶)박물관 활성화 방안
Ⅳ.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