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차문화산업학 제63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문헌을 통해 본 오미자 음료 트렌드 연구

A Study on Schizandra Beverage Trend through Literature

  • 83

본 연구의 목적은 오미자 음료의 역사성을 탐구할 수 있는 문헌을 토대로 시기별 트렌드를 고찰하여 특징을 규명하고 대중성을 확장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하에 17세기부터 21세기 초반까지의 시기에 저술이나 간행이 되었으며 오미자 음료를 만드는 재료와 방법이 구체적으로 기록된 18권의 문헌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고찰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찰한 문헌에서 오미자를 주재료로 만든 음료의 1차 유형은 차, 탕, 즙, 국(물), 고로 나타났다. 둘째, 오미자 음료의 1차 유형을 활용한 2차 유형은 갈수와 화채로 대별 되었다. 셋째, 문화적으로 역사성을 내포하고 있는 오미자 음료를 오늘날 산업적으로 활용하여 대중성을 확장하기 위해 헬시 플레저의 지향, 기능성에 대한 홍보, 뉴트로 음료로의 상품화, 컬러 세러피의 적용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history of schizandra beverages in the literature, examine trends over time to characterize them,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expanding their popularity. For this purpose, 18 literatures written or published between the 17th and early 21st centuries were selected for review that specifically documented the ingredients and methods of making schisandra bever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imary types of schisandra beverages in the literature reviewed were teas, infusions, juices, sweetened juices, and concentrates. Second, the secondary types of schisandra beverages utilizing the primary types of schisandra beverages were categorized as galsu and hwachae. Third, in order to expand the popularity of schisandra beverages today, this paper suggested orientation of healthy pleasure, promotion of functionality, merchandising as a newtro beverage, and application of color therapy.

Ⅰ. 서론

Ⅱ. 오미자의 특성 및 음료 유형

Ⅲ. 문헌에 나타난 오미자 음료의 트렌드

Ⅳ.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