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人文學硏究 第29輯.jpg
학술저널

정상적이고 일상적인 것

Normal and Ordinary: The Problem of Justification in the late Wittgenstein

  • 63

본 논문에서는 비트겐슈타인의 후기 철학에서 최종적 정당화의 작업이 어떻게 전개되는가를 개괄적으로 서술하여 그 특이성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추상적이고 불변하는 선험적인 본질이나 구조 같은 것을 최종적 정당화의 근거로 제시하는 철학사의 일반적인 경향과는 달리, 비트겐슈타인은 구체적이고, 변화의 가능성이 있으며, 직접적으로 경험이 가능한 인간의 행동을 최종적 정당화의 마지막 근거로 제시했다. 비트겐슈타인이 이러한 독특한 결론에 이르게 되는 과정은 그의 여러 저술에서, 심지어 한 저술 안에서조차 매우 산발적으로 전개되기 때문에 그 전체 그림을 조망하는 것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트겐슈타인 후기 철학의 핵심 개념들, 즉 “규칙 따르기”, “삶의 형식”, “세계상”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정합적으로 설명함으로써 그의 철학적 정당화 작업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명료하게 보여주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정상성”이 내포하고 있는 철학적 함의 역시 자연스럽게 제시될 것이다.

In this paper I try to show how the ultimate justification is carried out in Wittgenstein's late philosophy. Contrary to the general tendency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that something abstract, unchangeable and a priori is given as the ultimate foundation of the chain of reasons, Wittgenstein pointed out that the sought-after ultimate foundation could not be such things, but concrete human actions that are neither abstract nor unchangeable nor a priori.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how Wittgenstein justifies this unusual claim argumentatively because Wittgenstein develops his argument sporadically in various writings.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show the development of Wittgenstein's argument as clearly as possible by introducing and clarifying the relevant terms such as “Rule-Following”, “Form of Life” and “World-Picture” step by step. In doing this, it will also be shown what philosophical significance the phenomenon of normality could have.

Ⅰ. 머리말

Ⅱ.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적 정당화

Ⅲ. 맺음말

인용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