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노폰 시각으로 ‘중국’을 재사유하기
Rethinking ‘China’ from a Sinophone perspective: Shu-Mei Shih, Visuality and Identity: Sinophone Articulations across(2021)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동방학지
- 제206집
-
2024.03101 - 120 (20 pages)
-
DOI : 10.17788/dbhc.2024..206.004
- 22

본고는 2021년에 출간된 미국학계에서 시니폰 연구를 주창하는 대표적 학자인 스수메이(史書美)의 저작 『시각과 정체성—태평양을 넘어서는 시노폰 언술』에 대한 서평이다. 우선 이 글은 기존 중국 중심으로 하는 중국연구에서 소수자의 위치에서 중심과 길항하는 시노폰 연구로의 패러다임 전회 과정과 그 방법론을 간략히 정리한다. 다음으로 이 책을 기존의 시노폰 연구에서의 계보를 위치 짓고 『시각과 정체성』이 책에서 수록되는 여섯 개의 장을 크게 '시노폰의 언어황단적 실천'과 ‘양안삼지(兩岸三地) 사이에서의 시노폰 언술'이라는 두 가지 방향으로 나누어서 집중적으로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이 책에서 펼친 논점들을 단지 한국의 중문학계에만 한정짓는 것이 아니라 한국문학, 문화의 맥락과 접점도 함께 모색한다.
This paper is a review of the work “Vision and Identity—Sinophone Speech Beyond the Pacific” by Shu-mei Shih (史書美), a representative scholar who advocates Sinophone studies in American academia, published in 2021. First of all, this article briefly summarizes the process and methodology of the paradigm shift from Chinese studies centered on existing China to Sinophone research, which is in opposition to the center from a minority position. Next, this book is based on the genealogy of existing Sinophone studies, and the six chapters included in this book, ≪Visuality and Identity≫, are broadly divided into ‘Sinophone's Linguistic Abnormal Practices’ and ‘Between the Two Seas and Three Lands’. ‘Sinophone speech in’ is divided into two points and examined intensively. Lastly, the issues raised in this book are not limited to the Chinese literature world in Korea, but also explore the context and points of contact with Korean literature and culture.
1. 들어가며 - 중국연구에서 시노폰으로
2. 시노폰 연구의 작은 역사
3. 시노폰의 언어횡단적 실천
4. ‘양안삼지(兩岸三地)’ 사이에서의 시노폰 언술
5. 나가며 - 시노폰 연구와 한국학과의 접점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