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근현대사연구 제108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동학 주술에 내포된 유교 윤리적 요소

Confucian ethical element connoted in Donghak magic

DOI : 10.29004/jkmch.2024.03.108.9
  • 36

본 연구는 동학 주술에 내포된 유교 윤리를 살펴보았다. 동학 주술은 종교수행의 성격, 무력적 요소, 공동체의 정치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성격을 지닌동학 주술은 동학 속의 다른 사상과 관계를 맺었다. 특히 유교 윤리와 유사성을가지고 있었다. 동학 주술과 유교 윤리는 종교수행, 무력적 요소, 공동체성의측면에서 연결되고 있었다. 동학포교 시기 동학의 주술행위는 한울님을 내 몸 안에 모시는 시천주 수행이었다. 최제우는 유교에서 천인합일의 덕목이었던 성(誠)을 동학 주문의 덕목으로 만들었다. 성이 동학 주문의 덕목이 되면서 동학수행 속에 있었던 삼강오륜이 동학 주술의 효험으로 스며들었다. 교조신원운동기 동학교도는 척왜양을 주장하였는데 동학의 조화력으로 척왜양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여기에 왜양을 반대하는 성격을 지녔던 충효가 포함되었다. 동학농민전쟁기 농민군은 주문을 외우는 경천수행을 통해 보국안민을 실현하려고 하였다. 농민군은 개인의 이익을 추구하면 실천할 수 없었던 충효를 가지고 집권세력의 탐학을 반대하였다. 이러한 성격의 충효는 보국안민을 위한경천수행에 스며들고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Confucian ethics connoted in Donghak magic. Donghak magic had the characteristics of religious practice, elements of military force, and politicality of community. Donghak magic and Confucian ethics had similarities in these three aspects. This paper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Donghak magic and Confucian ethics during the Period of the Donghak missionary, during the Period of the movement vindicating the innocence of the founder of Donghak, during the Period of the Donghak Peasant War. Through this paper, it can be seen that each period had a relationship in the three aspects mentioned above.

1. 머리말

2. 동학포교 시기 경천수행의 동학 주술에 내포된 삼강오륜

3. 교조신원운동기 척왜양의 동학 조화에 내포된 충효

4. 동학농민전쟁기 보국안민의 동학 주술에 내포된 충효

5.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