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서예학연구 제44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임천고치(林泉高致)』에 드러난 산수화의 미적 인식과 방법 연구

A Study on the Aesthetic Awareness and Expression Method of the Landscape Painting in 『Limjeongochi (林泉高致)』 of Kwakhi)

이 논문은 곽희(郭熙)의 『임천고치(林泉高致)』에 나타난 산수의 미적 인식과 산수화 표현 방법을 북송 리학(理學)의 철학적 사유의 배경으로 연구한 것이다. 특히 송대에 산수화가 발전하는데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예술 취미와 심미관이 앞 시대와 달라졌고 이는 문인화의 출현과 송대 리학이 사회적으로 깊게 퍼져 나가던 시대정신과 연관이 있다. 곽희는 화원 화가이지만, 학식이 높았고 또 많은 문인과 교류하여 당시 지식인이 주장하는 시대정신인 리학의 영향을 받았다. 『임천고치』에 드러난 산수의 미적 인식은 시각적이고 감각적인 것에 의해 자연을 재현하는 사실적 그림이 아니라 자연의 변화에 대한 관찰과 경험을 통해 이성과 감성이 결합된 천인합일로서 최고의 선(善)임과 동시에 최고의 미인 천리(天理)로 표현되었다. 이것은 우주론(宇宙論)을 인성(人性)의 본질로 인식하는 미적 인식이며 격물치지(格物致知)와 같은 학문 단계와 수양을 요구하여 궁극적으로 도(道)를 드러내는 것으로, 회화를 한 차원 높게 평가하는 계기가 되었다. 산수화 표현 방법은 두 가지이다. 첫째, 사물을 격물 후에 산의 정수를 궁리하여 시의(詩意)로 초월적 사유와 또는 자연을 유기체의 순환 운동으로 여겨 산수화를 생기(生氣) 있게 드러내는 자성(自性)의 미를 표현하는 것이다. 둘째, 산수를 가까이서 보거나 멀리서 관찰하여 세(勢: 산의 기세)와 질(質: 산의 본질)을 얻고 산의 앞뒤 옆면을 깊이 관찰한 방식은 삼원(三遠:고원, 심원, 평원)을 통한 시간과 공간확장이다. 이에 따라 대상이 고정되는 병폐를 극복하고 움직임을 주어서 변화를 생겨나게 하고 생기가 넘치게 하여 마치 실제로 산수에 있는 것처럼 실체가 되게 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인물화에서 중시된 기운(氣韻)이 산수화에도 적용된 것이다. 아울러 운필과 먹 사용의 이치(理致)적 원리는 문인화가 활성화되게 하는 교량적 역할을 하였으며 산수화 생기의 자연미가 화조화까지 확대되는 역할도 하였다.

This study has researched the aesthetic awareness and the expression method of the landscape painting that is described in 『Limjeongochi (林泉高致)』 of Kwakhi, based on the philosophical contemplation of Rihak (Neo-Confucianism)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Landscape paintings were flourished especially in the Song Age. The emergence of this background can result from several factors. Above all, this mirrors the epochal art tendency and view of aesthetics in contrast to those in the previous times, which has something close to do with the spirit of the age when literary paintings came to the fore and Rihak (Neo-Confucianism) of the Song Dynast was deeply embedded in society. The highly learned Kwakhi, a painter in painting art academy, made an exchange with many literary men, thus, being influenced by Rihak (Neo-Confucianism) in reflection of the sprit of the age that epochal intellectuals held. The aesthetic awareness of landscape in 『Limjeongochi (林泉高致)』, was described not as a realistic painting that recreates nature by the means of visual and sensory elements but as the best good (善) and the best providence (天理) interpreted as universal unity (天一合一) in harmony with reason and emotion. This reflects the aesthetic awareness that cognizes universalism (宇宙論) as the essence of human character, and ultimately the moral principle emphasizing investigation of things (格物致知) and discipline, thereby providing the momentum to highly appreciate the landscape painting. A characteristic of landscape painting is that this painting expresses the beauty of landscape in a vivid way, regarding transcendental contemplation or nature as the circulating organism that contains poetic implication. This pursues the method of understanding the power (power of mountain) and attribute (essence of mountain) by observing landscape, at close or far distance and looking into all over the three surfaces of the mountain (high, deep, and plain surfaces) for spatial expansion,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 focusing on a single object, bring a dynamic change in an object so that it could move to and fro with full vigor, and to embody it into a living thing, as if it were actually described in landscape. It can be said that energy that figure paintings put weight on is included in landscape painting, also. In this regard,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stroke and ink has played the inter-complementary role to vitalize literary paintings, and furthermore expand the natural beauty of vigor from landscape painting into flower bird paintings.

Ⅰ. 들어가기

Ⅱ. 북송 리학(理學)의 특징과 곽희(郭熙)와의 사상적 관계

Ⅲ. 『임천고치』에 드러난 산수의 미적 인식(天理)

Ⅳ. 산수를 구현하는 방식

Ⅴ. 나오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