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수준별 영어 수업에 대한 비수도권 대학 학습자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대학 영어 교육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수준별 수업의 필요성과 교육적 효과를 평가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는 434명의 학습자가 응답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은 이전 설문조사 결과와 비교했을 때 수준별 수업의 필요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습자들은 필요성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식이 높았으나 수준별 수업의 효과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셋째, 수준별 수업의 필요성 인식 차이에 따라 수준별 수업 효과에 따른 견해 차이를 보인다. 이에 수준별 수업의 필요성을 느끼는 학습자들이 수준별 수업의 효과에 대해 더 높은 수준으로 응답하였다. 수준별 수업의 효과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이나 필요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식이 높은 분석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수준별 수업에 관한 부정적인 인식 개선, 정의적 영역을 고려한 교양영어 교육과정 설계, 평가 방식 개선, 분반 배치 개선을 수준별 수업 설계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erceptions of students in a non-metropolitan university regarding level-differentiated general English classes with a primary objective of identifying strategies to improve a college English program. To achieve the goal, a surve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necessity and educational effects of level-differentiated classes, and 434 students respond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early half of the students disapproved the level-differentiated instruction. Second, the students exhibited more positive responses on the effectiveness of level-differentiated instruction. Third, perception on the effectiveness of level-differentiated instruction differed depending on the students’ views of its necessity. Those who feel the need for level-differentiated instruction are in favor of the effects of level-differentiated instruction. Based on the findings and analysis of the survey,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provided to improve the college English program in the university without differentiated English classe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3. 연구 방법
4. 결과 및 논의
5. 결론
인용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