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33권 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경찰관기동대원의 소진 영향 요인 연구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burn-out among riot police officers

DOI : 10.21181/KJPC.2024.33.1.257
  • 59

경찰부대가 배치된 집회·시위 발생건수는 줄고 있지 않으며, 최근 10년 간 경찰관기동대원이 집회·시위 현장에서 신체적 피해를 경험한 경우는 연평균 약 90명 수준인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게다가 의무경찰제도 폐지로 경찰관기동대원의 양적 대비가 어려운 현실에서 이들이 과중되고 힘든 업무로 직무를 이탈하게 된다면 집회·시위 현장에서 치안 업무의 공백은 더욱 커지게 될 것이다. 즉, 사회 질서를 유지하고 시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경찰관기동대원이 소진을 경험하게 되어 직무를 이탈하게 되는 일을 조직 차원에서 방지할 요인을 탐색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에 이 연구는 경찰관기동대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통계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22년 전국 경찰관기동대원을 모집단으로 하여 계급·연령·성별 등을 고려하여 비례할당 표집을 통해 대표성을 확보한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이들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경찰관기동대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 모두 소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사실과, 특히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낮추고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한 몇 가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number of assemblies and demonstrations where police units are deployed is not decreasing, and it has been revealed that in the past 10 years,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riot police officers have experienced physical harm at assemblies and demonstrations has averaged about 90 people per year. Moreover, in a reality where it is difficult to quantitatively prepare riot police officers due to the abolition of the mandatory police system, if they are forced to leave their duties due to overloaded and difficult work, the gap in public security work at assembly and protest sites will become even larger. In other words, in order to maintain social order and ensure the safety of citizens, there is a need to explore factor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to prevent riot police officers from experiencing burnout and leaving their dutie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atistically ver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burnout of riot police officer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survey data that secured representativeness through proportional quota sampling, taking into account class, age, gender, etc., were used for analysis, using the 2022 national riot squad as the population.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ir impact on burnout was verifi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riot police officers all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burnout, and that job stress in particular had the greatest impact on burnout.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policy recommendations were presented to reduce job stress levels and increas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