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4권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소셜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복합재난 대응 시나리오 개발

Developing Complex Disaster Response Scenario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DOI : 10.9798/KOSHAM.2024.24.2.17
  • 53

복합적 형태의 재난 발생 빈도 및 위험성이 증가함에 따라 재난별 대응체계에서 통합적 재난 대응체계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복합재난 대응에 있어서 시나리오의 개발은 현재의 재난 취약성을 파악하고 미래 취약성을 예측하여 자체적 재난 대응역량 진단 및 체계적인 개선대책 마련에 도움을 주는 첫 시작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 시공간에서 발생한 개별재난들을 기반으로 시공간 클러스터를 탐색한 뒤, 도출된 복합재난 클러스터를 토대로 개별 재난간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권역별 복합재난 대응 시나리오를 제시하고자 한다. 발생 재난의 시공간 빅데이터와 소셜 네트워크 분석의 접목은 재난별 관계성을 통계적으로 측정하고 네트워크 그래프를 통해 재난 간의 관계를 가시화하여 파악하는데 용이하다. 또한 그 과정을 과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서술방식으로 기술하기 어려운 관계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의 개발은 복합재난 대응을 위한 정책적·제도적 기반이 미흡하고 불확실한 상황에서 재난의 관계특성을 직관적으로 빠르게 파악할 수 있으며 지역기반의 효율적 복합재난 대응계획안 구축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Given the escalating frequency and severity of complex disasters, it is imperative to transition from isolated disaster-specific systems to integrated disaster response frameworks. The development of complex disaster scenarios represents a crucial initial step, facilitating an in-depth comprehension of extant vulnerabilities and the forecasting of prospective challenges. This study reinterprets individual disasters that occurred within the same spatiotemporal domain as complex disasters. Complex spatiotemporal disaster clusters were explored, a social network analysis on individual disasters within these identified clusters was performed, and a regional disaster response scenario was proposed. This approach, which integrates spatiotemporal disaster big data with social network analysis, enables statistical measurement of inter-disaster relationships. Visual representations of these relationships through network graphs offer a quantitative lens to analyze relationships that may be difficult to describe narratively. Developing such scenarios facilitates a clear and swift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al dynamics among disasters, particularly in situations where there is an inadequate policy and institutional framework for responding to complex disasters.

1. 서 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의 흐름 및 범위

4. 연구 방법

5. 연구 결과

6.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