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화폐와 주민들의 퇴근길 경유 통행
Local Currency and the Post-Work Traffic of Residents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26 No.2
- 2024.04
- 527 - 538 (12 pages)
지역화폐는 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에서 발행하는 지역 내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한 상품권이다. 본 연구는 2010년과 2016년의 가구통행실태조사 원자료를 사용하여 지역화폐가 도입되었을 때 주민들의 퇴근길 경유 통행 행태에 변화가 나타났는지 이중차분 모형으로 분석했다. 선형확률모형을 활용한 이중차분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역화폐가 도입되었을 때 지역 주민들이 직장에서 집으로 바로 퇴근하지 않고 중간에 경유 통행을 할 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아송 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역화폐가 도입되었을 때 지역 주민들이 퇴근길에 경유 통행을 하는 횟수가 줄어들었다. 이는 사용처와 사용지역이 제한된 지역화폐가 도입되면서 지역 주민들이 퇴근길에 낮은 빈도로 여러 지점을 경유하는 대신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로 더 적은 지점을 경유하는 방식으로 통행 행동을 바꾸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지역화폐가 도입되면서 주민들이 기존의 다른 지역 원거리 소비 행동을 거주 지역 근거리 소비 행동으로 대체하게 되고, 거주 지역에서의 소비행동은 재래시장 또는 거주지 인근 상점가 등 한 번의 이동으로 복합적인 상품구매 행동이 가능한 여러 상점이 군집한 지역에서 주로 이루어졌다면 이러한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
Local currency is a type of voucher that can only be used at participating stores in the issuing district or province, issued by local governments in South Korea. We use the micro data from the Household Travel Survey in 2010 and 2016 to analyze how the introduction of local currency is related to changes in residents’ post-work traffic behavior using a Difference-in-Differences model. The results of the linear probability model show that the probability of stopbys when returning home from work increases for local residents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local currency. The results of the Poisson regression show that the number of post-work stopbys decreases for local residents after local currency is implemented. This suggests that the traffic behavior of the residents changes from stopbying several places with a low occurrence to stopbying fewer places with a higher occurrence when returning home from work.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the explanation that the residents substitute out-of-town consumption with local consumption when local currency is introduced.
1. 서론
2. 대한민국의 지역화폐
3. 선행연구
4. 자료
5. 모형
6. 결과
7.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