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Vol.26 No.2.jpg
KCI등재 학술저널

골다공증 진단 여성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with Osteoporosis

DOI : 10.37727/jkdas.2024.26.2.651
  • 131

본 연구는 골다공증 진단 여성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2016~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의 골다공증 진단 여성노인 1,67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5.0 프로그램으로 복합표본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 여성노인에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 관련 특성에 따른 골다공증 유병률의 차이는 Rao-Scott x²과 t-test로 분석하였고, 골다공증 진단 여성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는 t-test 또는 Wald F로 분석하였다. 골다공증 진단 여성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일반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65세 이상 여성노인의 골다공증 유병률은 39.6%로 나타났다. 골다공증 여성노인의 삶의 질은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관련 특성에서 연령, 거주지, 결혼상태, 동거가족형태, 가구소득, 교육수준, 경제활동,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 만성질환, 활동제한, 스트레스 인지, 음주, 체질량지수, 대사증후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다공증 진단 여성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동거가족 형태에서 혼자인 경우, 가구소득이 평균 이상,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우울이 없는 경우, 활동제약이 없을 때, 스트레스 인지가 없을수록, 연령과 체질량지수가 적을수록 삶의 질이 높았고 설명력은 34.1%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steoporosis prevalence and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HRQoL) among older Korean women with osteoporosis. The study design was a retrospective study using secondary data analysis. Data for 1,679 women aged 65 and older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6 to 2020 were include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influential factors on HRQoL, measured by the Euro Quality of Life-5D (EQ-5D).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among older women was found to be 39.6%. Significant variations in quality of life were observed across demographic factors such as age, residence, marital status, household type, household income, education level, and economic activity. Similarly,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including depression, subjective health status, comorbidity, activity limitation, stress perception, alcohol consumption, body mass index, exercise, and aerobic activ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life. Participants had an average quality of life score of 0.84 ± 0.005.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cluded household type, household income, subjective health status, depression, activity limitation, stress levels, age, and body mass index. Quality of life was higher among those living alone, with higher household income, better subjective health status, lower levels of depression and activity restriction, reduced stress levels, younger age, and lower body mass index. The model's explanatory power was 34.1%.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necessity for comprehensive and individualized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