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Vol.26 No.2.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형 목격자 메타기억척도의 타당화 연구

Validation of Korean Version of Eyewitness Metamemory Scale

DOI : 10.37727/jkdas.2024.26.2.707
  • 78

본 연구는 목격자 식별의 신빙성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목격자 식별 맥락에 특화된 메타기억 측정 도구인 목격자 메타기억 척도(Eyewitness Metamemory Scale)를 국내 실정에 맞게 타당화하였다. 이를 위해 만 19세 이상 60세 미만 362명을 대상으로 응답을 수집하여 원판의 개발 이전 초기 35개 문항에 대한 문항 분석, 요인분석, 수렴 및 변별타당도 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항분석 및 요인적재량을 기준으로 원판의 개발 이전 초기 35개 문항 중 10개 문항을 제거한 25개 문항을 추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5개의 문항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형 목격자 메타기억척도가 원판과 동일한 3개 요인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적절한 수렴 및 변별 타당도와 내적합치도를 보여 한국형 목격자 메타기억척도가 타당한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타당화한 한국형 목격자 메타기억척도가 국내 범인식별절차 간 법적 의사결정을 보조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지지하며, 목격자 식별 맥락에서 메타기억의 문화적인 비교를 바탕으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초 정보로써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validated the Eyewitness Metamemory Scale, developed for the specific context of eyewitness identification, under Korean conditions. Data from 362 participants between the ages of 19 and 60 were subjected to item analysis, factor analysi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and reliability using the original 35 items. After extraction, 25 items were retained, 10 items were removed and 3 new items were added. Factor analysis confirmed the three-factor structure of the Korean version, which reflected the original scale and achieved a reasonable model fit. Adequat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as well as internal consistency, suppor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Eyewitness Metamemory Scale. These findings confirm the utility of the Korean Eyewitness Metamemory Scale as a tool to aid legal decision-making in the Korean criminal identification process and provide a basis for cross-cultural metamemory research in the context of eyewitness identification.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