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프랑스문화연구 제60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탈중심의 시각으로 보는 술라이만의 항해기

Le voyage de Sulaymân vue par une perception socioculturelles: Société et cultures dans le monde maritime

DOI : 10.18022/acfco.2024.60.1.001
  • 18

본 연구에서는 페르시아만에서 남중국해까지 이르는 “바다의 실크로드”라고 불리는 7개 바다 즉, 페르시아 만에서 아라비아해(아덴 만, 인도양의 일부까지), 벵골 만, 안다만 해, 태국 만, 베트남의 남부 바다 그리고 남중국 바다와 그 해역 그리고 수많은 섬에 대한 9세기 당시 해역세계 속의 사회와 문화를 고찰한다. “로컬 사회”에 관한 연구에서는 먼저 1) 7개 바다의 위치, 2) 인종과 종교 그리고 신화, 3) 로컬 사회의 상이성을 살펴보고, “로컬 문화”에서는 1) 음식과 음료 문화, 2) 식인과 야만성, 3) 니아스의 결혼 풍습, 4) 의복과 나체 그리고 문화의 관계를 고찰한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는 술라이만이 항해했던 바다와 그 해역 및 섬의 사회적 관습, 문화, 전설 등을 고찰하면서 당시의 생활상과 풍습 그리고 그들이 가졌던 가치관과 세계관을 이해하고자 한다. 또한 이 고찰은 당시의 바다 인식 즉, 바다를 항해하는 사람들과 근동-아시아 연안과 섬의 사람들에게 바다는 어떤 의미인지 그들의 삶에 바다는 어떤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당시 바다를 통해 활발했던 동양과 서양의 교류도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L’objectif de notre étude est de révéler et de connaître les sociétés et cultures du IXe siècle le long de sept mers, ce qu’on appelle “la route maritime de la soie” : du golfe Persique à la mer d’Arabie (golfe d’Aden et une partie de l’océan Indien), au golfe du Bengale, à la mer d’Andaman, au golfe de Thaïlande, aux eaux méridionales du Viêt Nam et à la mer de Chine méridionale. Pour traiter cette question, nous avons choisi d’adopter un plan en deux parties: 1. “la société locale” vue par Sulaymân et 2. “la culture locale” vue par Sulaymân. Dans la première partie nous avons commencé par aborder les trois points suivants : 1) la localisation des sept mers, 2) l’ethnicité, la religion et la mythologie, 3) les différences dans la société locale. En ce qui concerne la seconde partie, elle s’articule en quatre chapitres suivants : 1) la nourriture et des boissons et la culture, 2) le cannibalisme et la barbarie, 3) la coutume matrimoniale de Nias, et 4) la relation entre l’habillement et la nudité et la culture. Ce livre est une chaîne des histoires des pays, des mers, des côtes, des îles raversées par Sulaymân. Par notre étude de ces lieux nous allons mieux lire les coutumes sociales, la culture et les légendes afin de comprendre la vie et les coutumes de l’époque, ainsi que leurs valeurs et leur vision du monde.

1. 들어가는 글

2. 탈중심의 시각으로 보는 술라이만의 항해기

3. 나오는 글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