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부동산정책연구 제25집 제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서울시 주거 취약 청년층의 주거불평등에 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Housing Inequality among Housing Vulnerable Youth in Seoul

이 연구는 서울시 주거 취약 청년층의 주거불평등에 주목하여 이들의 주거상황과 주거불평등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청년층 및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선행연구에서 충분히 파악하지 못했던 청년층의 주거불평등 정책 욕구를 파악하였고, 주거정책 수립을 위한 주요 가치와 정책 방향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8가지 주거불평등의 요소는 점유형태, 주거비 부담, 주거 불안, 주거환경, 주택 정보지원 접근성, 재해 취약성, 젠더 불평등, 정신건강이다. 특히 이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 다르게 주거불평등 요소를 폭넓게 다루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청년층의 주거 불안과 주거 빈곤은 단지 개인의 능력 문제가 아닌 사회적 세습의 문제가 되고 있는 만큼 이 연구는 향후 서울시 주거 취약 청년층이 경험하는 다차원적 주거불평등 완화 및 삶의 질을 개선을 위한 주거정책 방향에 기여할 수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housing inequality among housing vulnerable youth in Seoul and examined their housing situation and how housing inequality was manifes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youth and experts. Through this study, the policy needs of youth regarding housing inequality that have not been fully understood in previous studies were revealed, and key values and policy directions for establishment of housing policies identified. The eight elements of housing inequality presented in this study are tenure, housing cost burden, housing instability, improving the housing environment, bridging the housing information gap, strengthening disaster prevention, addressing gender inequality, and mental health. In particula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unlike previous studies, it broadly addressed elements of housing inequality. As housing insecurity and housing poverty among youth are becoming a social inheritance problem rather than a matter of individual ability,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housing policy directions to alleviate multidimensional housing inequality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experienced by housing vulnerable youth in Seoul.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