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마음공부 제8호.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디지털미디어 시대 문화적 불통과 대안 고찰

An Inquiry into Alternatives to Cultural Miscommunication in the Era of Digital Media: Centered on the Dimensions of Consciousness and the Concept of Mind Space

DOI : 10.61420/mp.2024.5.1.61
  • 132

이 글은 오늘날 미디어 시대에 주목하게 되는 문제로 디지털 리터러시 격차와 문화 지체 등으로 인한 이질성의 극대화를 들어, 그 감성적 영향 관계를 분석할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이에 따라, 각 개인이 당면한 문화적 불통의 양상을 성찰하고 소통의 실현을 체험하기 위한 대안 모색의 측면에서 고려할 주요한 의식적 층위들을 제시하고 논하였다. 본문에서는 문화적 불통을 야기하는 의식적 층위의 요소로 ‘반응의 그룹화, 은폐의 논리, 피동적 수렴’이라는 세 가지 지점을 중심으로, 이것이 어떠한 내적 감성과 연계되어 사회적 파편화의 양상으로 발현될 수 있는지에 대해 진술하였다. 또한 소통의 실현과 체험을 위한 측면에서 ‘마음의 발견, 규준의 창조, 관점의 변용’을 들어 이것이 각기 불통의 해법으로 어떠한 의미와 효용성을 지닐 수 있을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글에서 주목하고 있는 문화적 불통의 문제와 그 대안을 아울러 논의한 바의 지향은 사회적 연결성과 소통의 기능을 회복하는 작업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삶을 모종의 연속된 서사와 정체성이 담긴 것으로 인식하게끔 하는 자기성찰적 접속 혹은 사회적 연결 행위를 소통의 본질적인 기능이자 의미인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이 연결성의 체험 과정에서, 관점의 변용을 통한 행복의 가변성을 인식하고 새로운 서사와 정체성을 기록해가는 일련의 시도가 불통의 대안으로 유효성을 지닐 것으로 전망하였다.

This study pointed to the maximization of heterogeneity due to digital literacy gaps and cultural retardation as a problem that we are paying attention to in the media age today. In this pater, the emotional impact of the issue was analyzed, and accordingly, the aspect of consciousness was presented as an alternative for each individual to experience and reflect on the realization of communication. The study discussed which emotional situations can be linked to social fragmentation, focusing on three elements of the consciousness that cause cultural miscommunication: ‘grouping of reactions, logic of concealment, and passive convergence’. In addition, it was emphasized that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utonomous standards for communication and think specifically the level of self-awareness in relation to emotional states through self-immersion in order to change various problems caused by miscommunica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examined whether a being can be defined by the limited and continuous nature of identity, considering that the world is changed according to the mind rather than the mind is attributed to environmental factors. While acknowledging that he identity of existence cannot be defined, it was derived that the process of dealing with it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methods by using the identity as a topic will soon disprove some kind of identity. It was believed that such communication can begin by observing the accompanying emotional changes when experience has been accumulated to think differently of the meaning of action in various aspects.

1. 들어가며: 초월적 접속 시대의 문화 이질성

2. 문화적 불통의 요인과 감성적 징후들

3. 대안적 인식 탐구: 마음의 발견, 규준의 창조, 관점의 변용

4. 나가며: 감성 혁명의 서막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