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교실 담화에서 교사의 청유문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s Imperatives in Classroom Discourse

  • 118
한국어 교육 연구 제21호.jpg

이 연구는 문장 종결 유형별 청유문을 분석함으로써, 문법적 형식이 특정 담화 맥락에서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는지 탐구한다. 청유문은 명령문과 마찬가지로 지시적 속성이 두드러진 문장 유형이다. 특히, 교실 담화는 교사와 학생 간의 명확한 위계 구조를 바탕으로 한다는 점에서 교실 담화의 청유문은 다른 담화 상황에 비해 강조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구어 말뭉치를 활용하여 귀납적 방법으로 청유문을 분석하였다. 먼저 구어 말뭉치 내의 청유문과 그 기능을 문법적 관점에서 정의하였다. 이후 청유문을 기능별로 분석하고 분류하였다. 결과적으로 교실 담화에서 주로 발견되는 청유문은 대부분 지시적 기능을 나타냈다. 또한, 이전에는 별도로 논의되지 않았던 청유문의 새로운 기능들이 발견되었으며, 이러한 기능들은 담화의 유형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발견을 통해, 교실 담화에서 청유문의 독특한 특징을 구분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는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의 직관적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functions of grammatical forms in specific discourse contexts by analyzing propositional sentences based on sentence-ending types. Propositional sentences, similar to imperative sentences, are identified as having a notably directive attribute. Particularly, classroom discourse, which is grounded in a clear hierarchical structur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may highlight the use of propositional sentences more than in other discourse situations. Therefore, this research utilized a spoken corpus to investigate propositional sentences through an inductive method. Initially, propositional sentences and their functions were defined within the spoken corpus from a grammatical perspective. The sentences were then analyzed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propositional sentences in classroom discourse primarily exhibit directive functions. Moreover, new functions of propositional sentences, previously undiscussed, were discovered. These newly identified function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type of discour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llow for the differentiation of unique features of propositional sentences in classroom discourse, potentially aiding learners in enhancing their intuitive understanding of the Korean language.

1. 서론

2. 청유문과 지시화행

3. 교실 담화에서의 청유문

4.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