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제21권 제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학교 음악 경험과 20대 성인의 음악 생활화 동기에 관한 다중사례 연구

A Multiple Cas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Music Experiences and Motivation for Music Engagement Among Adults in 20s

DOI : 10.21187/jmhb.2024.21.1.001
  • 75

본 연구의 목표는 20대 성인의 음악의 생활화 동기와 그들의 학교 음악 경험 간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는 것으로, 20대 성인 10명의 인터뷰를 통해 그들이 과거 학교 음악 활동에서 경험한 자기결정이론의 세 가지 기본 심리욕구(자율성, 유능감, 관계성)를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참여자를 활발한 음악적 활동을 하는 그룹 5명, 활발하지 않은 그룹 5명으로 모집하여 개별 면담한 후, 면담 전사 자료를 나선형 자료 분석 기법의 다섯 가지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들이 경험한 학교에서의 음악 활동은 현재의 음악 생활화 동기와 긴밀한 관련성을 가지며, 이는 학교 음악 활동에서 경험한 자기결정이론의 세 가지 심리적 욕구 충족 경험과 연관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학교 음악 정규 수업의 진행 방식, 교내 음악 활동, 수행평가의 경험이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과 더욱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사례로 드러났다. 이처럼 본 연구는 학교 음악 활동에서 겪은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의 경험과 향후 성인이 된 이후의 음악에 대한 가치 인식 및 음악의 생활화 동기의 연관성에 대해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아울러 음악 활동에서의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의 긍정적인 경험을 통해 향후 삶 속에서도 자발적으로 음악을 생활화할 수 있도록 돕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ink between music integration in the lives of adults in their twenties and their school music experiences. Ten individuals in their twenties were interviewed to explore their experiences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s fundamental psychological needs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an active music engagement group (5 individuals) and an inactive group (5 individuals) for individual interviews. Transcripts were analyzed following the five steps of grounded theory data analysis technique. Results indicated a strong connection between music activities during school years and current motivation for music integration, associated with the fulfillment of psychological needs outlined i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Particularly, this study identified the instructional methods, school music activities, and performance evaluations as closely related to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It offer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how experiences in these areas during school music activities correlate with values and motivations for music integration in adulthood. Additionally, the study suggests ways to promote the voluntary incorporation of music into life through positive experiences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in music activitie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 과

Ⅴ.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