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8 No.2.jpg
KCI등재 학술저널

공간정보를 활용한 산불피해 건축물 분석

Analysis of Wildfire-Damaged Buildings Using Spatial Information: The Case of the 2023 Gangneung Wildfire

DOI : 10.7731/KIFSE.407bf537

우리나라의 경우 많은 정책과 선행연구들이 산불예방에 초점을 두고 진행되어 왔으며, 산불로 인한 건축물 피해발생 특성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다. 본 연구는 2023년 4월 11일 강릉에서 발생한 대형산불 사례를 조사하고 건축물피해발생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선행연구 사례와 비교를 통해 산불로 인한 건축물 피해와 관련한 몇 가지 논의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건축물 피해저감을 위해 단편적인 대책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건축규제 보완, 주변 환경 관리,피해저감시설 설치 및 소방력 접근성 확보 등의 종합적·유기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둘째, 취약한 인프라(소방관서, 도로 등)의 확대가 필요하지만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산불대응은 산림청, 소방청등 여러 기관 및 단체의 협업이 중요하기 때문에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결정을 하기 위한 시스템적 개선이 필요하다.

In Korea, several policies and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forest fire prevention; however, research on thecharacteristics of building damage caused by wildfires is insufficient. This study investigated a large wildfire that occurredin Gangneung on April 11, 2023,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maged buildings. Furthermore, several discussionpoints related to building damage due to wildfires are presented through a comparison with previous research. First, becausepiecemeal measures have limitations in reducing damage to buildings, comprehensive and organic measures are needed, suchas supplementing building regulations, manag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stalling damage-reduction facilities, andsecuring access to firefighting services. Second, although vulnerable infrastructure (fire stations, roads, etc.) must beexpanded,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focusing on actual cases. Third, because cooperation between various agencies andorganizations such as the Korea Forest Service and the National Fire Agency is important in responding to wildfires,systematic improvements are required to make quick and accurate decisions.

1. 서 론

2. 산불로 인한 건축물 피해 분석 관련 선행연구

3. 산불로 인한 피해건축물 특성 분석 방법

4. 결과 및 논의

5. 결 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