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청송지역의 청동기시대 文化相을 알기 위하여 고인돌과 유물 포함층 을 중심으로 몇 가지를 분석한 것이다. 청송지역에서 조사된 고인돌 유적은 15곳이고 25기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고 인돌은 대부분 산기슭의 끝자락에 위치하여 평지나 구릉지대에 분포하는 주변 지 역과는 차이가 있다. 덮개돌에 이용된 재질은 유적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화강암질 편마암이 많고 편암, 거정화강암, 석회암도 있다. 이러한 암질 선택에는 채석과 운반에 따른 노동력이 고려되었던 것 같다. 덮개돌의 크기는 길이가 151~200㎝ 되는 것이 대부 분이고, 400㎝ 이상도 2기나 있다. Zingg T. H.의 분류 기준인 사각 다이아그램으로 보면 길쭉한 모양과 막대기 모양이 많다. 이것은 덮개돌이 길이에 비하여 두께 가 두껍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고인돌의 형식을 보면 대부분 개석식이고 바둑판식(감연리 2호, 홍원리 1호)과 위석식(하속리)도 있다. 고인돌 축조 과정에는 덮개돌이 쓰러지지 않게 처음부터 수평 유지를 하였던 것 같다. 하속리 고인돌은 덮개돌 아래에 6매의 굄돌이 수평 유지를 위하여 놓여 있었다. 고인돌을 축조한 다음 후대의 사람들이 민간신앙과 연관시켜 숭배의 개념으로 제사를 지냈다. 제사와 관련 있는 고인돌은 홍원리 1호가 대표적이다. 홍원리 3호 고인돌은 아들 낳기를 바라는 기자 믿음이 전해오고 있다. 청동기시대의 유물 포함층은 하의리 유적과 진안리 유적에서 발굴되었다. 이 들 유적에서는 골아가리 토기, 민무늬 토기, 화살촉, 돌도끼, 돌그물추, 격지 석기, 갈돌과 갈판 등이 찾아져 청송지역의 청동기시대 유적 성격을 이해하는 단서가 되 고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several descriptions, focusing on dolmens and layers containing artifacts, to understand the cultural assemblages of the Bronze Age in the Cheongsong area. There were 15 dolmen sites surveyed in the Cheongsong area and 25 were distributed. Most of these dolmens are located at the end of the foot of a mountain, making them different from the surrounding areas, which are distributed in flat or hilly areas. The materials used for the cap-stones include granitic gneiss, which can be easily obtained from around the sites, and also include schist, pegmatite and limestone. The labor involved in quarrying and transport seems to have been taken into consideration in selecting this rock quality. Most of the cap-stones are 151 to 200 cm long, and there are two that are over 400 cm long. Looking at the square diagram, which is Zingg T.H.'s classification standard, there are many blade-shape and rod-shape. This is interpreted to mean that the cap-stone is thick compared to its length. Looking at the types of dolmens, most of them are pit-type, but there are also checkerboard-type (No. 2 of Gamyeon-ri and No. 1 of Hongwon-ri) and enclosed-type(Hasok-ri).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dolmen, it seems that the cap-stone was kept horizontal from the beginning to prevent it from falling over. The Hasok-ri dolmen had six stone props under the cap-stone to maintain the level. After constructing the dolmen, later people held ancestral rites as a concept of worship in connection with folk religion. The representative dolmen related to ancestral rites is No. 1 of Hongwon-ri . Dolmen No. 3 of Hongwon-ri is said to have a belief that the reporter hopes to give birth to a son. Layers containing artifacts from the Bronze Age were excavated from the Haeui-ri and Jinan-ri sites. In these sites, pottery with notched strip on rim, plain coarse pottery, arrowheads, stone axes, stone fishing net-sinker, stone grinding pestle and saddle quern, etc. were found, providing clues to understanding the character of Bronze Age sites in the Cheongsong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