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엽> 악곡들은 『대악후보』의 <진작>이 『금합자보』 <만대엽>으로 파생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연구대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엽>의 악구를 구분하고 선율을 구조적으로 분석하여 <진작3>ㆍ<대엽>ㆍ<만대엽> 선율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대엽> 악곡은 『시용향악보』의 <평조대엽>, 『현금동문유기』의 <대 엽>ㆍ<평조대엽 일명 낙수조>ㆍ<대엽 김종손>, 이상 4곡이다. 본 연구의 선율 분석은 악구별 선율에서 원점과 간점을 구분하고, 원점을 연결한 악구 단위의 골격선율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진작3>과 <만대엽>의 골격선율을 추출하여 비교한 결과 <진작3> ‘대엽’의 후반과 ‘부엽’의 골격 선율과 <만대엽> 제3~5장의 골격선율이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4종 <대엽>의 악구를 구분하고, 악구별 골격선율을 추출하여 분석한 결과 4종 <대엽> 악곡들의 선율은 악곡별로 차이가 있었다. <대엽> 악곡들의 제1~2장 선율은 <진작3>과 유사하지 않았지만, <대엽> 악곡들 간에는 서로 유사한 골격선율이 내재되어 있었다. <대엽> 악곡들의 제2장은 대체로 제1장 선율을 변화시킨 선율을 사용하였고, 『시용향악보』 <평조대 엽>보다 『현금동문유기』 <대엽> 제1ㆍ2장의 선율이 유사하였다. <대엽> 악곡들의 제3장 선율은 악곡별로 가장 큰 차이 를 보였다. 즉, 『시용향악보』 <평조대엽> 제3장이 <진작3>의 ‘대엽’과 유사한 선율을 공유한 데 비해, 『현금동문유기』 소재 <대엽> 악곡들의 제3장은 동일 악곡의 제5장과 유사한 선율을 공유하고 있었다. 『현금동문유기』 <대엽> 악곡들의 제4장 선율은 『시용향악보』 <평조대엽>의 제4장 선율보다 높은 음을 사용하고, 복잡한 형태로 되어 있어 제5장 선율과 명확하게 구분되었다. 이와 같은 『현금동문유기』 소재 <대엽> 악곡들의 형식은 『금합자보』 <만대엽>에도 이어졌다. 따 라서 4종 <대엽> 악곡들은 <진작3> ‘대엽-부엽’의 형식이 <만대엽>의 형식으로 변화되어 가는 과도기의 모습을 보여준 다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를 통해 <진작3>과 유사한 선율을 가졌던 『시용향악보』 <평조대엽>이 <진작3>과 구별되는 선율과 형식의 『현금동문유기』 소재 <대엽> 악곡들로 변모되어 『금합자보』 <만대엽>으로 정착되었음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현금동 문유기』 소재 <대엽> 악곡들이 <만대엽>의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ieces of daeyeop, considered as the original form of the classical vocal genre gagok, are very important sources that show the process through which Mandaeyeop in Geumhapjabo (the scores of plucked zither geomungo) was derived from “Jinjak” compiled in Daeakhubo (the scores of court music).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relationship of the melodies of Jinjak 3, Daeyeop, and Mandaeyeop, distinguishing daeyeop's melodic phrases and analyzing their melody structures. It focuses on four daeyeop pieces for analysis--Pyeongjodaeyeop from Siyonghyangakbo (lit. the Joseon-style scores used at the time), Daeyeop, Pyeongjodaeyeop aka Naksujo, and Daeyeop Kim Jong-son from Hyeongeumdongmunyugi (a collection of records and scores related to geomungo). The melody analysis in this study was conducted by distinguishing the structural notes from the melodic notes in the melody for each phrase and extracting the skeletal melody of the phrase unit connecting structural notes. As a result of extracting and comparing the skeletal melodies of Jinjak 3 and Mandaeyeop, it was found that the skeletal melodies of the second half of daeyeop and buyeop of Jinjak 3 were similar to chapters 3 to 5 of Mandaeyeop.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 phrases of the four daeyeop pieces and extracting and analyzing the skeletal melody for each phrase, the melodies of the four daeyeop pieces shows differences for each piece. Chapters 1 and 2 of the daeyeop pieces were not directly influenced by the melody of Jinjak 3, but similar skeletal melodies are used among the daeyeop pieces. Chapter 2 of the daeyeop pieces generally uses a changed one from the melody of Chapter 1, but the melodies of Chapters 1 and 2 of the daeyeop pieces in Hyeongeumdongmunyugi appear more similar than those in Pyeongjodaeyeop. The melodies of the daeyeop pieces show the greatest difference in chapter 3. In other words, while Chapter 3 of Pyeongjodaeyeop uses a melody similar to Jinjak 3, Chapter 3 of the three daeyeop pieces in Hyeongeumdongmunyugi uses similar melody to Chapter 5 of the same piece. The melody of Chapter 4 of the daeyeop pieces in Hyeongeumdongmunyugi uses higher notes than that of Chapter 4 of Pyeongjodaeyeop and has a complex form, so it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melody of Chapter 5. In addition, the form of daeyeop pieces in Hyeongeumdongmunyugi continues to that of Mandaeyeop in Geumhapjabo.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daeyeop pieces show a transitional period in which the form of Jinjak 3 was changed into that of Mandaeyeop. This study reveals that Pyeongjodaeyeop, which has a melody similar to that of Jinjak 3, was transformed into the daeyeop pieces of Hyeongeumdongmunyugi, which have a melody and form distinct from Jinjak 3, and then was established as Mandaeyeop in Geumhapjabo. In addition, it confirms that the daeyeop pieces in Hyeongeumdongmunyugi had a direc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Mandaeye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