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post.jpg
KCI등재 학술저널

이완순 무가의 관용적 선율 고찰 -1982년 살풀이를 중심으로-

A Study on Idiomatic Melodies of Lee Wansoon's Shaman Songs: Focusing on Salpuri in 1982

DOI : 10.29028/JNGC.2024.49.095
  • 8

본 연구는 1982년 현장에서 녹음된 진도 씻김굿 이완순 당골의 초가망석 살풀이의 2개 무가 자료를 통해서 그의 관용적 선율과 음악만들기 방식에 대해 고찰한 연구이다. 먼저 1982년 이완순 살풀이 (A)와 (B)는 공통으로 A, B, C, D 선율 유형이 분석된다. 가장 많이 출현한 A형 선율은 mi’, do’, la’ 등의 물결형으로 한 장단 안에서 각 1소박의 음을 상하로 이루며 물결 형태로 하행하고 사설은 역사적 신화 등으로 구성한다. B형은 mi’ 상행 하행형, 지속 하행형 등의 선율이다. 선율은 첫 음에서 지속 또는 상행한 뒤 그 음을 2박 이상 길게 연주한 후 하행하며 사설은 단어 또는 어구의 첫 음절로 구성한다. 이러한 선율 구성은 단어 또는 음절을 강조하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 D형은 mi’-mi♭’-mi’ 로 구성하는 선율이며 (A)와 (B) 모두 한 번씩 출현한다. 다만 관용적 선율 안에서도 A형의 (A)는 la’-mi’의 물결형 선율을 주로 이루었다면 (B)는 mi’-la-la’의 물결형 선율을 이루는 차이가 있다. 또한 (A)는 어구의 앞 단어를 강조하 기 위해 B형을 활용한 뒤 그다음 장단으로 A형을 구성하여 동일 단어를 반복하는 형태인 반면 (B)는 어구의 단어를 강조하지 않고 바로 A형 선율로 만드는 장단도 있다. 즉 같은 사설이라도 선율 활용을 다르게 연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두 개의 자료를 통해 이완순만의 4개의 관용적 선율 유형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 큰 틀 안에서 연행에 따라 각 유형과 사설을 새롭게 엮으며 무가를 만드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이 두 자료만으로 이완순의 음악 만드는 방식을 정의할 수 없지만 그의 관용적 선율 유형을 발견하는 것에 대해 의의를 둔다.

This study analyzes her idiomatic melodies and music-making method focusing on two “Chogamangseok Salpuri” pieces of Jindo ssitgimgut (purification ritual in Jindo) performed by a shaman Lee Wansoon and recorded in the field in 1982. The two salpuri (lit. exorcism) pieces—respectively, called (A) and (B)—have four melody types— respectively, called type A, B, C, and D—in common. Type A that appears the most is the wave shape composed of mi', do', la', and so on; the note corresponding to each beat moves down in the form of a wave within one rhythmic pattern. The lyrics of type A is primarily about historical myths. Type B, mi' ascending-descending type or sustaining-descending type, is a melody that ascends or sustains at the first note for more than two beats, and then descends after that. The lyrics is usually the first syllable of a word or phrase, and this melodic structure has the effect of emphasizing the syllable. Type C is a cadence melody that usually follows type A; after the first note, various melodies of ascending, sustaining, and descending movements are formed, and the final note la is continued for more than two beats to end the melody. The lyrics consists of plosive sounds. Last, type D form is mi'-mi♭'-mi', which appears once in both (A) and (B). Even within these idiomatic melodies,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A) and (B). For example, type A in (A) mainly consists of a la'-mi' wavy melody, while that in (B) mainly forms a mi'-la-la' wavy melody. In addition, (A) uses type B to emphasize the first word of the phrase, and then composes type A for the next rhythmic pattern, repeating the same word, whereas (B) does not emphasize the word of the phrase and immediately starts the type A. This shows that even if it is the same lyrics, the melody is used differently. Therefore, the analysis of Lee Wonsoon's two salpuri pieces confirms that there exist four idiomatic melodic types, and within this large framework, she creates a shaman song in each performance by improvising with various melody types and lyrics. Even if these two materials alone cannot define her method of making music, it is significant to discover her idiomatic melodic typ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