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post.jpg
KCI등재 학술저널

초등 음악 교과서 정간보 용례 분석을 통한 정간보 용어 재정립 방안 모색

A Plan for the Re-establishment of Jeongganbo Terminology through the Analysis of its Use in Elementary Music Textbooks

DOI : 10.29028/JNGC.2024.49.149
  • 45

정간보(井間譜)는 우물 ‘정(井)’자 모양의 칸을 만들어 음의 시가(時價)를 공간의 면적으로 치환한 기보법으로, 빈칸 의 정간 안에 여타 음악 요소인 음고(音高)ㆍ장단ㆍ주법ㆍ가사 등을 하나 이상 기보해야 하는 고유한 특성을 지닌 기보 법이다. 이러한 정간보의 근본적인 특성으로 인해 일반 학교 국악 교육에서 다양한 유형의 정간보가 개발되어 활용되는 데, 여러 유형의 정간보를 지시하는 명칭이나 개념 오류에 관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아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현행 8~9종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제시된 정간보의 용어 및 개념을 고찰하고, 나아가 다양하게 활용하는 정간보 유형의 용례를 분석하였으며, 현행 단일 명칭인 정간보 용어의 효과적인 변별을 위한 정간보 용어 재정립 방안을 모색 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과 개론서 등의 정간보 개념 진술에서 일부 오류 내용이 보이는데 시가 표기 외에 음고까지 표기한 것으 로 진술하였다. 또한, 현행 초등 음악 교과서에서 제시한 정간보의 개념은 주로 5ㆍ6학년의 단소와 소금 연주법을 지도 하기 위해 제시되었는데, 7종이 비교적 정확하고 1종은 오류를 범하고 있다. 둘째, 현행 8~9종의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에서 활용하는 정간보 유형을 기보 형태별, 기보 내용(음악 요소)의 표기 방식별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 먼저 정간보의 기보 형태는 세로형과 가로형으로 대별 된다. 또한, 정간보 안에 장단의 구음, 율명(율자), 가락선, 가사(노랫말), 기타 등의 음악 요소를 표기한 방식별로 용례를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정간보는 지도 내용이나 지도 단계에 따라 제재 곡 전체 악곡 또는 한 장단이나 한 행 길이의 짧은 단위 등 다양한 유형이 개발되었으며, 3~6학년 전 학년에 걸쳐 폭넓게 활용된다. 셋째, 다양한 유형의 정간보를 변별하여 지칭하기 위한 용어 생성 원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보 형태별 분리, 둘째, 기보 내용(음악 요소)의 표기 방식에 따른 분리, 셋째, 동일 음악 요소라도 표기 방식의 층위에 따른 분리, 넷째, 단일 음악 요소의 동일 기능 기보 방식인 경우 용어 통일, 다섯째 2가지 이상의 음악 요소 병기 시 정간총보로 지칭하 기이다. 이러한 원리로 생성된 정간보 다수의 명칭은 가로형/세로형 정간보, 가로형/세로형 정간총보, 가로형/세로형 구음정간보, 가로형/세로형 율자정간보, 가로형/세로형 가락선정간보, 가로형/세로형 가사정간보, 가로형/세로형 기타 정간보 등의 하위 개념으로 분류되며, 모든 하위 개념은 상위 개념인 정간보로 귀속된다. 이처럼 다양한 유형의 정간보 는 향후 지속하여 개발되고 활용되리라 추정되는데, 이는 열린 악보로서 내재한 정간보 특성을 돋보이게 하는 현상이며 무궁한 계승ㆍ발전이 기대된다.

Jeongganbo (井間譜), a notation method that replaces the time value of the sound with the area of space by creating a space in the shape of the letter ‘jeong’ (井), is characterized by the uniqueness that requires notating one or more musical elements, such as pitch, rhythmic pattern, playing technique, and lyrics, in each space. Due to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jeongganbo, various types of jeongganbo have been developed and utilize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of general schools, but research on names or conceptual errors indicating various types of jeongganbo has not been conducted, raising the need for research. Accordingly, this study reviews the terminology and concepts of jeongganbo presented in the current 8-9 types of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further analyzing the use of various jeongganbo types and seeking ways to redefine jeongganbo terminology for effective discrimination of the current single name of jeongganb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some errors in the concepts of jeongganbo stated in dictionaries and compendia, including the statement that the pitch in addition to the time value is notated. In addition, the concept of jeongganbo presented in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was mainly presented to teach 5th and 6th graders how to play traditional wind instruments, danso and sogeum. While 7 types of the textbooks is relatively accurate in using it, 1 type makes an error. Second, the result of the analysis after classifying the types of jeongganbo used in the current 8-9 types of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according to the notation type and notation method of notation content (music elements) is that the notation form of jeongganbo is divided into vertical and horizontal types. The result of classifying and examining the use of jeongganbo according to the way musical elements such as syllable of rhythmic patterns, name of pitch, melodic line, lyrics and others are notated is that various types of jeongganbo for a whole musical piece, one rhythmic pattern beat, or one line have been developed and they are widely used across 3rd to 6th grades, depending on the instruction content or instruction stage. Third, there are the principle of generating terms to differentiate and refer to various types of jeongganbo. First, there is separation by notation type; second, separation by notation method of music element; third, separation by the level of notation method even for the same musical element; fourth, unification of terms in the case of the same functional notation method of a single music element; and fifth, it is referred as jeongganchongbo when two or more musical elements are combined. The names of many jeongganbo created by these principles are classified into sub-concepts such as ‘horizontal/vertical jeongganbo’, ‘horizontal/vertical jeongganchongbo’, ‘horizontal/vertical gueum-jeongganbo’, ‘horizontal/vertical yulja-jeongganbo’, ‘horizontal/vertical garakseonjeongganbo’, ‘horizontal/vertical gasa-jeongganbo’, and ‘horizontal/vertical gita-jeongganbo’; and all these sub-concepts leads to the higher concept, jeongganbo. It is assumed that various types of jeongganbo will continue to be developed and utilized in the future, which is a phenomenon that highlights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jeongganbo as an open score, and its infinite succession and development is expected.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