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네츠 구전문학의 연행자들과 화자 ‘라하나코’
Storytellers and Narrator Laxanako in Nenets Folklore
- 경북대학교 러시아-유라시아 연구소
- 러시아유라시아연구
- 제9호
-
2023.041 - 16 (16 pages)
- 5

네네츠 인은 시베리아 극북지방에 거주하는 사모예드 계 소수민족이다. 그들은 천 년 이상 문자 없이 살아오면서 민족 정신문화의 총체인 구전문학을 발전시켰다. 그들의 구전문학에는 일반 문학의 법칙에서 벗어나는 미학적 특징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서사 장르 속의 연행자들과 화자 라하나코의 존재다. 무대에서는 이야기꾼과 텔탕고다가 함께 연행하는데 그들의 공연 형식은 네네츠 종교의식에서 기원했다. 신화-설화에서 이야기꾼이 언어, 표정, 몸짓 등의 다양한 기교로 연행하면 텔탕고다는 이야기꾼의 마지막 구절을 반복하여 청중들에게 재전달한다. 라하나코는 단어가 의인화된 존재로서 네네츠 구전문학의 가장 독특한 문학적 장치이다. 라하나코는 텍스트 내부에서 화자의 역할을 맡지만 상황에 따라 작가, 주인공의 보호자, 생명력을 불어넣는 초월적 존재 등으로 변신한다. 연행자들과 라하나코는 텍스트를 중심으로 관계가 형성된다. 연행자들이 텍스트 외부, 즉 무대 위의 존재라면 라하나코는 텍스트 내부에 존재한다. 이는 연행자들이 무대에서 라하나코 역할을 연행하는 공연에서의 초월적 존재임을 말해준다. 이 현상은 낡은 형태의 신화가 시대와 사회 변화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해온 구전문학의 변형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Nenets lives in the North of Siberia as a Samoyed ethnic minority. Without writing they developed Nenets folklore, which is the totality of national spitual culture. In their folklore there are aesthetic characteristics that deviate from yhe rules of general literature. The representative examples are the presence of performers and narrator Laxanako in the epic genres. Storytellers on stage, Laxanako and their form originated from Nenets religious ceremony. When a main storyteller perform a myth-tales with various techniques such as language, facial expressions and gestures, Teltangoda repeats the last phases of main storyteller and relays it to the audience. Laxanako is the most unique literary device of Nenets folklore as words personified. Laxanako takes on the role of the narrator within the text, but also the author depending on the context. It transforms into a protector of the hero and transcendent being who breathes life into i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ers and Laxanako is formed around the text. While the performers are outside the text, Laxanako exists inside the text. These means that performers are transcendent beings in performances when they perform the role of Laxanako on stage. This phenomenon can be understood as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of folklore, in which old forms of mythology have constantly changed according to the times and social changes.
1. 네네츠 언어문화와 구전문학
2. 서사 장르의 연행자들
3. 화자 ‘라하나코’의 시학적 기능
4.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