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러시아 문화지형에서 다양한 시기에 발현된‘귀족’을 ‘문화 코드(culture code)’의 개념을 통해 문화적 의미화를 시도해보고자 한다. 러시아의 귀족, 귀족 문화는 표트르 대제의 근대화 이후인 19세기부터 본격적으로 발현되기 시작하였다. 19세기 초반 급속도로 발전하였다가 19세기 중후반 농노해방 이후 약해진 러시아 귀족 문화는 러시아 정치, 사회, 문화는 물론이거니와 특히 19세기 러시아 문학의 중요한 문화 코드로 자리를 잡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 문화지형에서‘귀족’의 의미를 문학 작품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론 1에서는 19세기 이전 러시아의 전통적 귀족인‘보야린’계급을 중심으로, 그리고 본론 2에서는 표트르 대제의 근대화 이후 나타난 새로운 귀족 계급인‘드보랸스트보’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본론 2에서는 드보랸스트보의 생성과 발전, 그리고 19세기 귀족 문화의 정점인 무도회를 중심으로 살펴본 뒤, 결론을 대신하여 마지막 3장에서는 1860년대 농노해방을 기점으로 시작된 귀족의 몰락까지 고찰해보고자 한다.
In this paper, we try to culturally signify the 'nobility' manifested at various times in the Russian cultural topography through the concept of 'culture code'. The aristocratic and aristocratic culture of Russia began to emerge in earnest from the 19th century, after the modernization of Peter the Great. The Russian aristocratic culture, which developed rapidly in the early 19th century and weakened after the liberation of the serfs in the mid-to-late 19th century, takes its place as an important cultural code not only in Russian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but also in Russian literature in the 19th century. Therefore, in this paper, the meaning of 'nobility' in the Russian cultural topography is examined through literary works. To this end, in main thesis 1, we will focus on the 'boyarin' class, the traditional Russian aristocracy before the 19th century, and in main thesis 2, we will focus on the 'Dvoryanstvo', a new aristocratic class that appeared after the modernization of Peter the Great. In particular, in the main dissertation 2,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of Dvoryanstvo and the ball, the pinnacle of aristocratic culture in the 19th century, were examined. Instead of a conclusion, in the last chapter 3, I would like to consider the fall of the nobility that began with the liberation of the serfs in the 1860s.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 귀족의 몰락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