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상은 화자의 태도이다. 러시아어에서 양상어는 특수한 통사적 지위로 실현된다. 이 중에서도 정보에 대한 ‘무조건적 확신’을 표현하는 양상어들, 즉, 정언적 담화 표지들(DC)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의 증거가 간접적일수록, 화자가 정보의 신빙성을 높이기 위하여 DC가 사용됨을 설명하고 있다. 연구 결과, DC가 적용되는 간접적 증거를 지닌 정보는‘청자가 정보가 사실임을 예측할 수 있음(예측성)’의 유무에 따라 (1) 청자가 공유하는 일반적 지식 (2) 청자가 공유하지 않고, 화자가 사실이라고 믿는 정보 (3) 청자가 공유하지 않는 화자의 추정으로 분류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1)예측성을 전제로 하는 DC(DCP; Predictive Categorical Discourse Marker)와 (2), (3)에 해당하는 예측성을 전제로 하지 않는 DC(N-DCP Non-Predictive Categorical Discourse Marker)로 분류된다. DC는 DC가 작용하는 정보가 청자가 공유하는 일반적 지식을 기반으로 할 경우에 사용된다. DC는 의미적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일반적 지식의 종류(고정관념, 논리적 지식, 자연 세계에 대한 지식)에 따라 의미 및 용법에 있어서 차이가 존재한다. 한편, N-DCP는 (2)в самом деле유형과 (3)бесспорно 유형으로 분류된다는 사실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본 논문은‘확신을 나타내는 표지’에 관한 기존 연구가 바라보는 관점에서 벗어나 (a)명제와 발화의 개념을 구분하고, 이러한 표지가‘ 명제의 사실적 지위에 대한 판단(인식 양상)’이 아니라 발화에 대한 화자의 확신을 표현하는 담화 표지(정언 담화표지)이며, (b)이들은 간접적 증거를 바탕으로 하는 정보에 작용하며, (c)간접적 정보는 청자의 예측성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지며,(d)이에 따라 정언 담화표지 또한 3가지로 분류됨을 밝혔음에 의의가 있다.
Modality is the attitude of the speaker. In Russian, modal words are realized with special syntactic statuses. Among them are modal words expressing the “unconditional certainty” of information, that is, Categorical Discourse Markers (DC). This article explains that the more circumstantial the proof of information is, the more DC is used by the speaker to increase the credibility of the informatio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nformation with circumstantial evidence, to which DC relates, can be classified in this way,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predictability” (The listener can predict that the information is correct): (1) general knowledge shared by the listener (2) information, not shared by the listener, which the speaker believes to be true (3) the speaker's assumption, not shared by the listener. Accordingly, DCs can be classified as DCP(DC predictability) that match (1) and N-DCP(DC no predictability) that match (2) and (3). DCs are used when the information on which the DC operates is based on shared knowledge shared by the listener. DCs seem to have no semantic difference,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meaning and usage depending on the type of general knowledge (stereotype, logical knowledge, knowledge about the natural world). On the other hand, it was possible to deduce the fact that N-DCP is classified into the “в самом деле” type based on (2) and the “бесспорно” type based on (3). In this article, departing from the point of view of existing studies of “markers indicating certainty”, the concepts of propositions and statements are distinguished, and it is discovered that these are categorical discourse markers that express not the reliability of the factual status of propositions (epistemic modality), but statements. And there are also implications that the following facts are disclosed: (a) categorical discourse markers act on information that refers to circumstantial evidence, (b) there are three types of circumstantial information according to predictability of the listener and (c) thus, categorical discourse markers are also divided into three types.
Ⅰ. 서론
Ⅱ. 러시아어의 예측적 정언 담화표지 DC
Ⅲ. 예측성의 DC와 비예측성의 DC
Ⅳ.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