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의 중심에는 인간이 있고, 문학 작품에서 일상의 영역은 인간 삶의 다양한 측면을 포함한다. 이것은 인물의 모든 형태의 존재와 일상생활을 포함하는 개인적이고 가정적인 삶일 수도 있고, 또는 일상적인 상황들에 의해 유발되는 다양한 감정 표현들일 수도 있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문학 작품 세계에서 ‘일상’이라는 단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그 후 20세기 말 21세기 초 한국의 현대 작가들의 단편소설들을 토대로 일상의 문제가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 구체적인 예들을 살펴보려 한다. 논문의 연구 대상으로 선택한 단편 작가들은 거의 같은 시기에 교육을 받은 사실상 동년배들이다. 그러나 그들 각각은 문학이라는 예술 공간에서 다양한 캐릭터를 창조하도록 만드는 자신만의 인생 경험을 가지며, 어떤 때는 소설이 아니라 사건 현장의 다큐멘터리 르포를 보는 듯한 착각이 들 정도로 사실적인 등장인물들을 그린다. 다음 장에서는 구체적인 작품 분석을 통해 이들이 일상의 문제를 작품에서 어떻게 구현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Humans are at the center of literature, and the realm of everyday life in literary works encompasses many different aspects of human existence. This can include the personal and domestic life of a character, encompassing all forms of existence and daily routines, or it can involve various emotional expressions triggered by everyday situations. In this paper, we will first explore the meaning of the term 'everyday' in the realm of literature. Then, we will examine specific examples of how everyday issues are depicted in short stories by contemporary Korean writers from the late 20th and early 21st centuries. The short story writers I have selected for my thesis are essentially contemporaries, educated around the same time. However, each of them possesses their own life experiences that enable them to create a diverse range of characters within the artistic space of literature. At times, they depict characters so realistically that it feels as if we are witnessing a documentary account of an event rather than reading a novel. In the subsequent chapters, we will analyze specific works to understand how they incorporate everyday issues into their narrat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