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경북대학교 러시아-유라시아 연구소.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러시아어 인과접속사에 관한 연구

A Corpus-Based Study on Russian Causal Conjunction

본 연구에서는 Pander & Degand, Sweetser, Verhagen의 인과접속사에 대한 연구들을 러시아어의 인과접속사 по этой причине, поэтому, так что, итак이 사용되는 용례들에 적용해 봄으로, 이들이 사용되는 맥락과 사용동기를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문장에서의 화자 참여도의 정도에 따라 러시아어 인과 접속사 по этой причине, поэтому, так что, итак의 순으로 사용 빈도가 더 많은 것이 발견되었다. 또한 так как는 상호주관적 인지협동과정을 유발시키는 기능을 지니고 있고 접속사 потому что는 이러한 기능을 지니고 있지 않기에 전자는 추론적 인과관계를 연결시킬 수 있고 후자는 그러지 못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러시아어 인과 접속사 по этой причине, поэтому, так что, итак의 쓰임이 발화상황에서의 화자와 청자의 참여도에 따라 용법이 구분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This study applies the analytical frameworks proposed by Pander & Degand, Sweetser, and Verhagen to investigate Russian causal conjunctions - po etoy prichine, poetomu, tak kak, tak chto, itak. Our goal is to understand the contexts guiding their use and the motivations behind their deployment. The findings reveal a consistent usage order: po etoy prichine, poetomu, tak chto, and itak, with variations linked to the degree of speaker involvement in the sentence. Furthermore, our analysis highlights the distinctive role of tak kak in initiating intersubjective cognitive cooperation processes, setting it apart from potomu chto, which lacks this function. As a result, tak kak facilitates the connection of inferential causal relationships, a capability not shared by potomu chto. This nuanced exploration uncovers distinctions in the use of Russian causal conjunctions - po etoy prichine, poetomu, tak chto, itak - based on the levels of speaker and listener participation within the speech context.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