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사회 전체가 네트워크와 데이터로 연결된 초 연결 사회에 살고 있다. 도자 제작에 참여하는 업체나 작가들 또한 네트워크와 데이터를 활용하여 도자 제작이나 시각적 데이터 제공 및 판매에 참여함으로써 이러한 사회와 소통하고 있다. 그러나 시각적 데이터에 반하여 각종 통계 데이터에 대한 참여나 활용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 같은 문제의식으로 본 연구는 도자를 용도별로 분류하고 공예트렌드페어에 참여한 업체와 개인의 최근 5년간의 용도별 품목 조사를 진행하여 트렌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트렌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반상기를 비롯한 기본 식기류의 지속적인 성장, 글로벌 식문화의 가정 내 확산과 SNS의 이용 증가에 따른 식기 품목의 확장과 제작 비율 상승, 식물 관련 품목의 뚜렷한 성장, 향기 관련 품목의 급격한 제작 비율 상승, 입체 조형이 하향세인 반면 감상용 항아리/벽면조형/피규어 등은 상승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품목별 제작 비율만으로도 일정 정도의 트렌드 분석이 가능함을 확인하였고 이후 다양한 방법의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We live in a hyper-connected society where the entire social fabric is intertwined with networks and data. Companies and artists participating in pottery making also engage with this society by utilizing networks and data to participate in pottery production, visual data provision, and sales. However, there is a lack of participation and utilization of various statistical data compared to visual data. With this awareness of the issue, this study classified pottery by purpose and conducted a survey of items by purpose over the past five years for both companies and individuals participating in craft trend fairs, analyzing trend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ends observ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continuous growth in basic tableware including pottery, expansion of tableware items and increased production ratios due to the spread of global food culture within households and the increasing use of social media, significant growth in plant-related items, rapid increase in production ratios of fragrance-related items, downward trend in three-dimensional modeling while witnessing an upward trend in decorative urns, wall art, and figurine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rend analysis to a certain extent is possible merely through the production ratios of items by category, leading to a realization of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using various methods in the future.
Ⅰ. 서론
Ⅱ. 도자의 용도별 분류
Ⅲ. 공예트렌드페어 조사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