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요금(宋遼金) 시기는 중국 불교 화와 인물도자 조형의 역사에 있어서 중요한 시기이다. 당나라 때는 도자 불상을 생산하는 가마가 나타났고, 이는 송요금 시기에 명확하게 변화하였다. 도자 불상 공예가 보급되고 발전하는 과정에서 석굴, 석각, 금동(金銅) 불상 등 다른 재료로 만들어진 불상을 대체하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불교사상과 인물 조형의 변화는 각기 다른 사회적 배경과 남북 간의 서로 다른 도자 제작 공예를 형성하여 다양한 양식의 불교 인물 도자가 탄생하게 되었다. 본문은 송요금 시기 경덕진요(景德鎮窯)와 용천무요(龍泉務窯) 등 남과 북을 대표하는 가마의 불교 인물도자 조형 공예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이 시기에 불교는 중국에서 널리 전파되었고, 불교 도자는 중요한 종교 예술 표현 방식으로 발전하였다. 나한상, 관음상, 보살상 등 불교 인물도자 조형은 이 시대에 큰 인기를 얻었으며, 독특한 미학과 공예를 선보이게 되었다. 또한, 본문은 송요금 시기 불교 인물도자 조형의 특징과 공예를 심도 있게 분석하며, 남과 북의 정치, 문화, 사회적 배경이 불교도자 조형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 시기의 중국은 정권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그러나 예술 양식과 도자 제작 공예의 관점에서 보면, 불교 인물도자 조형은 중국 불교 조형 발전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관한 연구를 통해 송나라 때는 정권의 남하, 상공업의 번영, 문화예술에 대한 중시를 통해 경덕진요가 불교 도자의 주요 생산지가 되었고, 경덕진요의 도자 제작 기술과 소성 온도가 크게 향상되어 불교 인물 도자는 더욱 세련되고 제품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요금 시기에는 북쪽 장인들이 남쪽으로 이동하여 불교 도자가 발전하였지만, 경덕진요에 비해 제작 규모와 공예 수준이 낮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용천무요는 당나라의 삼채(三彩) 공예를 어느 정도 계승하였다고 할 수 있다. 예술 양식 측면에서, 송나라 경덕진요의 불교 인물도자는 더욱 사의(寫意)적인 양식을 추구하였으며, 이는 송나라 문인의 사의화(寫意畫)가 유행했던 추세와도 일치했다. 이와 반대로 요금 시기의 불교 도자는 당나라의 양식을 계승하였고, 더욱 사실적인 양식의 인물도자로 제작하는 것을 중요시하였다. 송요금 시기는 중국 불교 인물도자의 예술과 공예 발전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비록 남과 북의 양식에는 어느 정도의 차이가 있었지만, 이 시기는 중국 불교 조형 예술의 발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많은 불교도자 조각상들이 세계 각국의 박물관에 흩어져 있지만, 이 작품들은 여전히 동양 예술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 외에도 송요금 시기에 형성된 불교 인물도자 공예와 예술 양식은 후세에 불교 인물도자가 발전할 수 있도록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Song, Liao, and Jin Dynasties mark a crucial period in the history of Chinese Buddhist culture and figurative ceramic art. During the Tang Dynasty, kilns producing ceramic sculptures emerged, and this trend underwent a distinct transformation in the Song, Liao, and Jin Dynasties. The craft of ceramic sculpture became widespread and advanced, gradually replacing sculptures made of other materials such as stone, wood, and gilt bronze. Changes in Buddhist philosophy and figurative art occurred due to diverse societal backgrounds and the distinct ceramic crafting traditions between the northern and southern regions, resulting in the emergence of various forms of Buddhist figurative ceramics. This paper focuses on the study of Buddhist figurative ceramic art from representative kilns of the north and south, namely the Jingdezhen Kiln in the south and the Longquan Kiln in the north during the Song, Liao, and Jin Dynasties. Buddhism was widely disseminated in China during this period, and Buddhist ceramics evolved as a significant form of religious artistic expression. Sculptures of Bodhisattvas, Avalokiteshvara, and other Buddhist figures gained great popularity during this era, showcasing unique aesthetics and craftsmanship. The analysis in this paper delves into the characteristics and craftsmanship of Buddhist figurative ceramic art during the Song, Liao, and Jin Dynasties. It explores the various influences of political, cultural, and societal backgrounds from the north and south on Buddhist ceramic art. Despite multiple changes in political regimes during this period in China, Buddhist figurative ceramics held a crucial position in the development of Chinese Buddhist sculptural art from an artistic and crafting perspective. Through this research, it is evident that during the Song Dynasty, with the southward migration of political authority, economic prosperity, and a heightened emphasis on cultural arts, the Jingdezhen Kiln became a major production center for Buddhist ceramics. The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firing temperatures at the Jingdezhen Kiln greatly improved, resulting in more refined and commercialized Buddhist figurative ceramics. In contrast, during the Jin Dynasty, although northern craftsmen moved southward,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Buddhist ceramics, the scale and craftsmanship were lower compared to the Jingdezhen Kiln. Simultaneously, the Longquan Kiln inherited to some extent the tri-colored craftsmanship from the Tang Dynasty. In terms of artistic forms, Buddhist figurative ceramics from the Jingdezhen Kiln during the Song Dynasty pursued a more expressive style, aligning with the prevalent trend of expressive painting among literati of that era. In contrast, Buddhist ceramics during the Jin Dynasty inherited the forms from the Tang Dynasty, emphasizing the creation of more realistic forms in figurative ceramics. The Song, Liao, and Jin Dynasties represent a crucial period in the development of Chinese Buddhist figurative ceramics' art and craftsmanship. Despite some differences in forms between the north and south, this era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history of Chinese Buddhist sculptural art. Many Buddhist ceramic sculptures are scattered in museums worldwide, remaining essential elements of Eastern art. Moreover, the artistic forms and craftsmanship established during the Song, Liao, and Jin Dynasties had a profound influence, paving the way for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Buddhist figurative ceramics in subsequent periods.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