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건물과 도로를 대상으로 3차원 공간정보 응용 분야를 고려한 최소 LOD 수준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3차원 공간정의 LOD 개념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문헌 검토 방법을 통해 총 10가지(건물의 태양 복사 에너지 추정,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 추정, 도시 소음 분석, 도시 인구 추정, 3차원 입체지적, 가시권 분석, 교통 시뮬레이션, 도시 시설물 관리, 실내외 연계, 실감형 콘텐츠) 유스케이스와 응용사례에 대한 최소 LOD 수준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한 최소 LOD 수준은 3차원 공간정보를 이용한 응용 시스템을 개발하는 사용자의 의사결정에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aimed at developing minimum required LOD(Level of Detail) considering applications of 3D geospatial Information for building and road. For this, we examined the concept of LOD specification for 3D geospatial information, and then proposed 10 distinct types of use cases used in several application domains with minimum required LOD through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solar irradiation estimation, building energy demand estimation, analysis of noise propagation, population estimation, 3D cadastre, visibility analysis, transportation simulation, facility management, integrating indoor and outdoor, realistic content). It is believed that the minimum required LOD we suggested in this paper will be useful as an important reference for user’s decision-making in association with developing applications based on 3D geospatial data.
1. 서 론
2. 3차원 공간정보의 LOD
3. 연구방법
4. 응용 분야별 세밀도 수준 분석
5. 결 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