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기술트리 기반의 공간정보 기술 활용 및 관리체계 수립 연구

A Study on Establishing a Technology tree Based Geo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Utilization and Management System

  • 55
한국지적학회지 제40권 제1호.jpg

기술트리는 국내 공간정보 분야의 공백 기술을 진단하고 해외의 기술과의 경쟁력을 분석할 수 있으며, 기술 간 위계나 연관 관계를 파악하여 일관성 있는 기술개발이나 로드맵 작성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일부 연구관리기관에서는 기술분류체계를 R&D 기획 및 선정 과정이나 기술개발 로드맵 과정에 활용되고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국제경쟁력이 취약한 기술분야를 지원하거나 시장성이 높은 기술분야를 집중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존의 공간정보 관련 기술 분류체계는 대부분 광범위한 학술적 기술 분류를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범위한 상위 수준의 기술 분류와 폭넓게 정의된 요소기술 분류로 인하여 공간정보 기술개발 및 계획 수립에 이용하기에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의 공간정보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기술을 중점으로 기존의 기술분류체계보다 세부적인 공간정보 기술트리(안)을 작성하였다. 또한, 공간정보 기술트리의 활용을 위한 방안과 작성에서부터 운영·유지관리 및 체계적인 갱신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technology tree can diagnose gap technologies in the domestic geospatial information field, analyse competitiveness with overseas technologies, and identify hierarchies and relationships between technologies, contributing to consistent technology development and roadmap construction. In addition, some research management organisations are using the technology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R&D planning and selection process and technology development roadmap process. This shows that they are supporting technology areas with relatively weak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r focusing on technology areas with high marketability. However,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existing geospatial information-related technology classification systems present a wide range of academic technology classifications, and are insufficient for use in geo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ment and planning due to the wide range of high-level technology classifications and broadly defined elemental technology classification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 detailed geo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tree that is more detailed than the existing technology classification system by focusing on the technologies that are mainly used in the field of geospatial information in Korea. In addition, we proposed a plan for the utilisation of the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tree and a plan for operation, maintenance, and systematic updating from the creation.

1. 서 론

2. 기술트리의 의의 및 활용 현황

3. 공간정보 기술트리(안) 작성 및 활용방안 모색

4. 결 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