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운곡학회논총.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내설악 화전민 취락과 너새집 분포

The distribution of slash and burn farmers’ settlements and neosaejips in Inner Seorak

DOI : 10.69615/ungok.2023.15.191
  • 32

이 연구에서는 강원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 일원, 백담사~영시암과 널협이골, 길골 등에 분포했던 내설악 너새집을 대상으로 하여 조선시대의 산수유기, 일제강점기의 기록 및 1대 5만 지형도, 6.25 전쟁 이후의 지형도와 사진 기록 등을 근거로 각 시기별 분포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내설악 너새집은 조선시대 역말인 갈역촌(용대리 외가평)을 포함, 현재 국립공원 지역인 백담사 일원에서 영시암에 이르기까지 약 4km 구간에 걸쳐 최대 50여 채가 분포했다. 이들 너새집은 백담사-축성암-영시암-원명암-오세암을 잇는 경로상 입지를 기본 축으로 널협이골, 길골, 곰골 등 백두대간 저항령을 넘어가는 계곡길에도 분포해 있었다. 대부분의 너새집은 화전 개간 이후 숙전화된 경작지 농사 및 사냥과 약초 채취 등을 생업으로 하는 이들의 터전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백담사~영시암 지역의 너새집은 6.25전쟁 이후 1970년 초까지 존재했다. 그러나 정부의 화전정리사업 및 국립공원 지정 등과 맞물려 1979년경 내설악에 남은 마지막 한 채까지 모두 철거되었으며, 여러 곳에 남아있는 돌담 등 집터 일부를 확인할 수 있다. 설악산 지역은 국립공원 지정 이후 자연생태계 보존에 괄목할만한 성과를 보여왔다. 그러나 조선시대 이래 1970년대 초까지 근 300여 년간 인제군 북면 용대리, 내설악 지역에 살았던 사람들의 흔적 등 인문경관은 모두 지워지고 말았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립공원공단과 인제군 등 관계 기관이 나서서 백담계곡에 한 군데만이라도 이곳을 터전으로 하여 살아왔던 화전민의 자취인 너새집을 복원, 전시함으로써 탐방객들에게 설악산의 인문환경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사업을 적극 추진하기 바란다.

In this article, the research area is the valley section of Baekdamsa(백담사)~Yeongsiam(영시암) including the branch valleys of Gilgol(노동), Gomgol[백담리], and Yeongsidong(영시동), and Neolhyeobigol[광협동] located in the northern part of Inner Seorak[內雪嶽]. This area belongs to Yongdaeri, Bungmyeon, Injegun, Gangwondo. I investigated the historical distribution of neosaejip(너새집) by various records of three periods; Joseon dynasty, Japanese occupation, and post Korean war. All the materials such as Sansuyuki(산수유기), historical records, and regional geography books of Chosun; topographic maps of Japanese occupation with related documents and photos; modern topographic maps and documentary photos of post Korean war gave me essential basis. Research result is that there were at most fifty neosaejips from Baekdamsa region to Yeongsiam, including the Garyeokchon(갈역촌), Oegapyeong(외가평) where used to be a horse relay of Joseon. On the line of 12 kilometers’ main path through Baekdam and Suryeomdong(수렴동) valley, there were such temples as Baekdamsa, Chukseongam(축성암), Yeongsiam, Wonmyeongam(원명암) and Oseam(오세암). Various size of neosaejips were located with small arable land originated from slash and burn field along this main line including two branch valleys(Gilgol and Gomgol) and Neolhyeobigol placing in the middle of Jeohangnyeong(저항령) path. Till the early 1970s after Korean war, about 10 neosaejips remained but all of them were demolished by government policy, the readjustment project of slash and burn field. In the last year of the project, 1979, the last remaining neosaejip in Inner Sorak was disappeared by forced removal of Injegun. Now in bush and woods, there can be found only some indistinct sites of neosaejip with crashed stone wall. Since the designation of Seoraksan as the fifth national park of Korea, 1970, there has been some remarkable accomplishments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But the three hundred-year long human landscape and cultural assets were erased totally, such as neosaejip and slash and burn field in the area of Inner Seorak, Yongdaeri, Bungmyeon, Injegun. Based on this research, related government departments involved, Inje-gun and th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I urge the active restoration project of neosaejip as a kind of cultural heritage. The result of such project will be contribute to the economic development of Injegun as well as promoting lots of tourists’ understanding about human environment of Seorkasan national park.

Ⅰ. 서론

Ⅱ. 조선시대 기록의 너새집

Ⅲ. 일제강점기 기록과 지도에 보이는 너새집

Ⅳ. 6·25 전쟁 이후의 너새집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