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운곡학회논총.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이인직의 『은세계』 재론

A Rediscussion of Lee In-jik's novel “Eunsegye”

DOI : 10.69615/ungok.2023.15.241
  • 10

『은세계』에서 작중 서술자는 탐관오리와 의병을 ‘불한당’과 ‘무뢰지배’로 지목한다. 서술자의 정치적 입지를 드러낸 것이다. 서술자는 정치적 논평을 최병도와 옥남 남매의 입을 통해 발설한다. 그 하나는 최병도의 ‘망국론’이고 다른 하나는 옥남의 ‘대개혁’이다. 그런데 옥남의 ‘대개혁’은 최병도의 ‘망국’의 현실화라는 점이다. 순종 즉위 원년(元年, 1907.7.19), 대한제국의 주권 상실 상태를 ‘대개혁’으로 미화한 것이다. 이런 점에서 『은세계』는 작가의 기획적 친일 의도를 드러낸 소설로 볼 수 있다. 그 근거로 이 소설에 삽입된 불한당을 풍자한 가요(歌謠)는 당대 민심의 흐름을 담아내고 있으나 이 가요의 창작 주체와 전승자들은 서술자의 관점을 매개하는 역할만 한다. 이들은 최병도가 위기에 빠졌을 때 김정수를 중심으로 민요(民擾)를 일으킬 수 있었다. 또 외세에 항거하는 의병이 될 수도 있었다. 그래서 서술자는 최병도를 민중적 저항을 부정하고 강원 감사를 직접 훈계하도록 각색하였다. 소설 결말에서 옥남이 의병들을 향해 민족적 저항이 부당하다는 연설을 장황히 하는 장면을 제시하였다. 옥남의 매국적 연설을 들은 의병들이 옥남을 선유사(宣諭使)로 오인하여 어디론가 끌고 가는 장면에서 서술자는 대중들에게 의병을 ‘무뢰지배’로 각인시키려는 의도를 드러내었다. 결국 『은세계』는 옥남 남매의 납치 장면을 통해 의병운동의 불온함을 드러낸 것이다. 그래서 이 소설은 ‘이인직에 의한 이인직을 위한’ 친일 어용문학이라 정의할 수밖에 없다.

In Eunsegye, the narrator points out corrupt officials and the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as “hooligans” and “outlaws,” displaying his political position. The narrator reveals his political comments through the mouths of Choi Byeong-do and Choi Ok-nam, who are brother and sister. One is the former's “national ruin theory,” and the other is Ok-nam's “grand reform,” which is the realization of Choi Byeong-do's “national ruin.” It glamorized Korean Empire's loss of sovereignty in the first year of King Sunjong(July 19, 1907) as “grand reform.” In this aspect, Eunsegye is a novel that reveals the author's planned pro-Japanese intention. One of the grounds is the songs that satirize the hooligans in the novel. These songs reflect the flow of the public sentiment in those days, but the creative subjects and transmitters of the songs only play the role of mediating the narrator's point of view. They could arouse a civil commotion around Kim Jeong-su when Choi Byeong-do was in a crisis or raise an army in the cause of justice to resist foreign power. The narrator thus made an adaptation so that Choi Byeong-do would deny people's resistance and give a personal lecture to the Gamsa of Gangwon. He also inserted a scene where Ok-nam delivers a lengthy address about the unjust nature of people's resistance to the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at the end of the novel. After listening to her address treacherous to the country, the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mistakes her as a Seonyusa and drags her to some place. With this scene, the narrator reveals his intention to imprint the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as “outlaws” to the people. In the end, Eunsegye reveals the improperness of the Volunteer Corps Movement through the kidnapping scene of the Oknam siblings. Therefore, I have no choice but to define this novel as pro-Japanese literature “for Lee In-jik, by Lee In-jik.”

Ⅰ. 서론

Ⅱ. ‘불한당’과 민요(民擾), ‘최병도 타령’

Ⅲ. ‘의병’과의 불화, 미궁에 갇힌 전망

Ⅳ.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