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운곡학회논총.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2000년대 한국문학을 통해 본 ‘인류세’의 환경인식

Environmental Perception of the ‘Anthropocene’ through Korean Literature in the 2000’s: Centered on Pyun Hye-young’s novel and Yu Hyung-jin’s poem

DOI : 10.69615/ungok.2023.15.273
  • 66

폴 크루첸과 유진 스토머에 의해 2000년에 처음 제안된 개념인 ‘인류세’는 현재의 시점에서 국제층서위원회(ICS)로부터 공식 지질시대로서의 선포가 임박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이는 지질학적 시대 구분으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하는 것이지, 인문사회학적 영역에서의 개념화가 완료되었다는 의미로 볼 수는 없다. 특히나 문학비평의 영역에서 이 개념이 기존의 생태비평과 어떻게 관련을 맺고,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없다. 한 시대의 감수성이 어떠한 형식과 내용으로 출현하는지에 대한 담론은 그 시대로부터 얼마간의 거리를 가지고 나서 정식화되고 예각화되기 마련이다. 본고에서는 2000년대의 문학 작품에서 특징적으로 발견되는 ‘환경인식’ 중에서도 ‘인류세’라는 시대적 의식과 상호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파악되는 특질에 대하여 문학비평적 차원에서의 탐색을 수행하였다. 2000년대의 작가들이 지니는 ‘환경인식’은 ‘다성성(多聲性)’이나 ‘목적성의 결여’ 등, 독특한 수사학적 특징으로 구현된다. 2000년대 문학의 ‘다성성(多聲性)’과 ‘목적성의 결여’는 흔히 포스트모던 일반의 특성으로 치부되거나, 소재주의로의 후퇴로 여겨졌다. 그러나 ‘인류세’가 떠안고 있는 고민을 수용한다면, 이러한 현상은 오히려 에코모더니즘과는 타협하지 않을 수 없는 사면초가의 기로에서 본질적으로 기존의 생태윤리와 다르지 않은 그들만의 환경인식을 지키기 위한 방편으로 이해된다.

The concept of “Anthropocene” first proposed in 2000 by Paul Crutzen and Eugene Stoermer, is currently evaluated by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Stratigraphy(ICS) as imminent to declare it as an official geological era. However, this solidifies its status as a geological era division, and cannot be seen as meaning that conceptualization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has been completed. In particular, in the field of literary criticism, how this concept relates to existing ecological criticism and how it appears has not been studied. The discourse on what form and content the sensitivity of an era emerges is bound to be formalized and acute after some distance from that era.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conduct a literary critique on the characteristics that are mutually related to periodic recognition of “Anthropocene”, one of the ‘environmental perception’ characteristically found in literary works in the 2000s. The ‘environmental awareness’ of writers in the 2000s is embodied by unique rhetorical characteristics such as ‘multi-voice’ or ‘lack of purpose’. The ‘multi-voice’ and ‘lack of purpose’ of literature in the 2000s were often regarded as postmodern general characteristics or a retreat to materialism. However, if we accept the concerns of the ‘Anthropocene’, this phenomenon is understood as a way to protect their own environmental awareness, which is essentially not different from the existing ecological ethics, at a crossroads where ecological modernism cannot but be compromised.

Ⅰ. 들어가며

Ⅱ. 인류세와 생태비평의 새로운 테제

Ⅲ. 언캐니한 자연과 종(種)의 절멸 - 인간문명/자연 분리 사유에의 도전

Ⅳ. 비자성적(非自省的) 인간과 해결의 부재 - 딥 타임(deep time) 인식의 우회적 촉구

Ⅴ. 나아가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