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운곡학회논총.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젠더 차이에 따른 토의 담화의 양상

Aspects of discussion discourse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s

DOI : 10.69615/ungok.2023.15.301
  • 1

본고는 남녀 화자의 구성 비율 차이가 토의 담화의 양상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살펴본 연구 결과물이다. 일반적으로 여성 화자들은 발화 횟수를 많이 하면 수다스럽다거나 장황스럽다는 등의 평가를 받을 것을 두려워해 발화 횟수를 적게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것은 사회 지배 구조와도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여 공적인 상황과 사적인 상황에서 다르게 나타난다. 즉 공적인 공간에서는 여성 화자들이 발화 횟수를 적게 하지만 부부 사이와 같은 사적인 상황에서는 여성 화자들이 발화를 많이 하는 편이다. 하지만 사적인 상황이라고 하더라도 여성 화자가 담화의 주제에 대한 주도권을 가져가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담화 상황에 참여하고 있는 남녀 화자의 구성 비율이 달라진다면 여성 화자와 남성 화자의 발화 횟수에 영향을 줄 것이다. 연구 결과 여성 화자들은 남성 화자가 많거나 성비가 같을 때에는 담화의 주도권을 놓치지 않기 위해 발화 횟수를 늘리는 경향이 있으며 남성 화자의 수보다 여성 화자의 수가 많을 때에는 이러한 의식이 다소 느슨해져 남성 화자의 발화 횟수가 더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순간적으로 이루어지는 대량 발화 횟수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is the result of a study how differences in the speaking of male and female speakers in the discussion discourse. In general, it is believed that female speakers make fewer utterances out of fear that they will be evaluated as talkative or long-winded if they speak a large number of utterances. This appears to have an impact on social governance structures and appears differently in public and private situations. In other words, in public spaces, female speakers make fewer utterances. But in private situations such as between married couples, female speakers tend to make more utterances. However, even in private situations, the female speaker does not take the lead on the topic of the conversation. Then, if the composition ratio of male and female speakers participating in a discourse situation changes, it will affect the number of utterances by female and male speakers. As a result of the study, female speakers tend to increase the number of utterances in order not to lose control of the conversation when there are many male speakers or when the gender ratio is the same. When there are more female speakers than male speakers, this consciousness becomes somewhat looser and the male speaker increases the number of utterances. This trend appears to also affect the number of mass ignitions that occur instantaneously.

Ⅰ. 머리말

Ⅱ. 선행 연구와 연구 방법

Ⅲ. 토의 담화의 전개 양상

Ⅳ. 성별 구성에 따른 담화 차이

Ⅴ. 맺음말

로딩중